올해부터 적용된 2022 교육과정은 수업과 평가를 어떻게 달라지게 할까?
새로운 내용과 형식은 새로운 현상을 만들어낸다. 2022교육과정은 개념기반탐구학습을 많이 녹여냈으며 기존의 백워드, 이해중심교육과정에서의 이점들을 많이 수용한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디지털교과서의 도입, AI코스웨어 활용까지 새로운 기술까지 도입되는 이 시기에 좀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교육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이 책의 좋은 점은 여러 이론에 산재되어있던 평가 관련 개념에 대한 분명한 정의와 방법이 있다. 특히 루브릭의 경우 외국의 용어와 방법으로 설명을 듣다보니 헷갈리고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었는데 루브릭을 적용한 사례까지 알 수 있어서 유익하다. 또한 평가와 피드백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소개하고 사용방법도 알 수 있어서 당장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가 되었다.
개인적으로 교육에서 평가 방법은 다양해질 수록 학생 개개인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평가에는 교사의 전문성과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다. 수업 내용과 방법에 초점을 맞춘 눈을 옮겨서 평가에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책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활동하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