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저어언혀 리뷰를 못(안) 쓰고 있다.
물론 내 리뷰라는 것이 작품과는 대체로 상관 없는 몇 줄짜리 단상의 끄적임이었지만,
재작년 연말부터 알라딘 서재를 쓰기 시작하면서, 어쨌든 읽은 것을 기록한다는 차원에서
시작하여 작년 마지막 읽은 작품(신정때 고향집에 내려가며 제주항공 비행기에서 읽은
<소년, 세상을 만나다>) 이후로 하나도 못(안) 쓰고 있다.
최초의 이유는 단순하다. 귀찮음.
뭔가 쓴다는 것에 질린 지는 어언 몇 년이 된 주제에,
블로그는 접고, 열고, 닫고, 새로 열면서 가당찮게 글을 끄적이는 행위를
여전히 못 버리고 있지만, 역시 귀찮다.
그리고 또 하나의 핑계.
업계에 종사하는 인간으로서 리뷰를 쓴다는 행위가 그리 공평하지 못한(언페어한)
여러 가지 사정들이 개입되고 있다는 걸 스스로 절감하기 때문이다.
되도록 내가 읽는 책들은, 95% 이상 내 돈을 주고 읽고 있지만
그와 상관없이 어떠한 '연'을 맺거나, 한 다리 건너 '사정'을 아는 책들을 읽게 될 때가 있다.
물론 나따위가 매기는 별점과 리뷰에 어떤 영향력이 있을 거라는 추호도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내가 그 텍스트에 대해 뭐라 발언을 하는데 있어
그 '연'과 '사정'은 꽤나 '신경'이 쓰이고, 실제로 '신경'이 작용한다.
하여 그리 정직하지 못한 별점과 리뷰가 나오게 된다.
게다가 내가 남이 만든 텍스트를 두고 뭐라 할 입장이 전혀 아니다.
나의 깜냥과 별개로, 어쨌든 현역에서 책을 만들고 있는 상황이고,
내가 읽고 있는 텍스트들이 당장에 내가 만들고 있는 그 책들과 전혀 별개의 것이 아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내가 만든, 만들 그 책들이 다시 평가의 장에 서야 하는 입장에서
성격 그대로 주절거리기에, 나라는 인간은 꽤나 소심하다(A형, 처녀자리-_-).
그래서 결론.
더이상 알라딘 서재에서 그 해당 책에 대한 리뷰는 안(못) 쓴다.
다만, 그 책과 링크 시키지 않고, 한두 줄로 끄적이는 걸 페이퍼에만 조만간 개시하련다.
(라고 한들 그전의 리뷰랑 별 차이는 없겠지만.)
그냥, 읽었다는 차원에서만.
*그럼에도 머릿속에서는 새로운 서재를 열어 멋대로 투덜거리는 리뷰가 써볼까 하는
음흉한 상상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아니 농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