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검색
비코드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나의 계정
주문조회
보관함
0
알림
추천마법사
베스트셀러
새로나온책
굿즈총집합
분야별 보기
이벤트
중고매장 찾기
매입가 조회
알라딘에 팔기
회원에게 팔기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온라인중고
우주점
커피
음반
블루레이
알라딘 굿즈
자동슬라이드 멈춤
북펀드
오디오북
고객센터
알라디너TV
알라딘 서재
북플
소셜 속 알라딘
신간 소식과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요
알림센터
장바구니
메뉴 전체보기
검색
독자(獨子)적인 독자(讀者)
글보기
서재 브리핑
방명록
닫기
공유하기
URL 복사
메뉴
차단
신고
니체와 레비나스
cyrus 2025/10/08 10:00
댓글 (
4
)
먼댓글 (
0
)
좋아요 (
22
)
닫기
cyrus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취소
차단
마힐
2025-10-09 00:03
좋아요
l
(
1
)
니체 철학에서 ‘신은 죽었다‘ 는 명제가 가장 대중적이며 유명하죠. 사람들은 니체하면 니체의 그 말만 회자 시키는데 신의 죽음. 그럼 신은 왜 죽은 것일까? 무엇 때문에 죽었는 가로 바로 이어지지 못 하는 것 같아 보여요. 그저 기독교 적인 사고에서 벗어났다 라는 의미로만 보는 것 같더라구요.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를 보면 신이 죽었다는 명제 뒤에 나중에 보면 이런 말이 나왔어요. ˝신이 죽었다. 인간에 대한 동정 때문에 죽었다˝ 고 밝혀요. ˝신에게도 지옥이 있는데 인간에 대한 사랑이 신에게는 지옥이란 거지요. 즉 신의 죽음은 결국 인간 때문이란 것이지요. 기독교의 폐단을 말 하기 보단 인간에 대한 사랑으로 신은 죽고 인간은 위버맨쉬 즉 초인으로 변해야 된다고 역설 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요. 낙타에서 사자의 변신 끝에 어린아이가 되는 것 그것은 동심이며 그 동심이 바로 신임을 밝히는 거지요. 즉 신은 죽되 죽지 않고 변화 한 것이 아닐까요? 신의 인간에 대한 사랑이 신을 죽음에 이르게 했지만 그 죽음이 바로 초인을 탄생 한 게 아닐까요? cyrus님의 신은 죽었다라는 해석이 궁금해 지네요. ㅎㅎ
cyrus
2025-10-09 16:07
좋아요
l
(
1
)
니체가 ‘신의 죽음’ 선언 이전에 기독교 교부 철학자와 종교인들은 성경 속 교리를 철저히 지키면서 살아가라고 강조했어요. 원죄론에 따르면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죄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목사들은 신도들에게 천국에 가려면 매일 기도하고, 성경 교리를 지키고, 도덕을 지키면서 살아가라고 말합니다. 니체가 보기에는 기독교에 강조하는 도덕이 인간을 노예로 만든다고 비판해요. 니체가 죽었다고 말한 신은 예수 그리스도가 아니라 성경을 자의대로 읽고 해석하면서 신의 대리인으로 행동하는 기독교 성직자들을 가리킨다고 생각해요. 성직자들은 매일 사랑을 언급하고 강조하는데, 신도들은 그들의 가르침은 맹목적으로 따릅니다. 신도들은 성경과 믿고 따르는 성직자들의 말속에 갇혀서 살아가요. 이것이 니체가 비유하는 ‘노예’이자 기독교 교리는 ‘노예도덕’이에요.
낙타, 사자, 어린아이 비유는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고 생각해요. 정답은 없어요. 저도 어린아이가 신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니체는 자신을 디오니소스의 제자라고 표현한 글을 썼는데, 어린아이는 디오니소스와 닮은 신으로 해석하고 싶어요. 지금 이번에 나온 <차라투스트라>를 읽는 중인데, 마힐 님이 언급한 내용을 꼼꼼하게 읽어야겠어요. 생각거리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
감은빛
2025-10-10 06:30
좋아요
l
(
1
)
한때는 저도 철학을 공부해보고 싶어서 철학책들을 사곤 했었죠. 대학시절 교양 수업도 몇 차례 들었었고. 깊게 공부해보지 않아서 잘은 모르겠지만, 도중에 길을 잃기 참 좋은 학문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반면에 제가 공부했던 사회학은 상대적으로 길을 찾기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 학문이었다고 생각해요. 그 길이 과연 내가 가야할 곳으로 잘 데려다주는 길이었느냐가 문제겠지만요. 아, 그건 철학도 마찬가지겠네요. 역시 학부 전공만 했기 때문에 깊게 공부하지 않았지만, 사회학은 사회 현상을 다루는 학문이라 살아가면서 겪는 현상들을 지켜보고, 기록해두고, 정리하는 일도 학문을 이어가는 일이라 여겨요. 저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제 평생의 과업으로 여기고 있으니, 여전히 제 나름의 방식으로 사회학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그럼 철학은 살아가는 일에 대한 학문이니, 살아가는 사람들 모두가 나름의 방식으로 철학을 하는 것이 되는 걸까요? ㅎㅎㅎㅎ
철학책 읽기 모임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시간과 공간이 허락한다면 저도 꼭 해보고 싶어요. 늘 시루스님 글을 읽으면 질투심이 드는데, 오늘 유독 더 그렇네요. ㅎㅎㅎㅎ
cyrus
2025-10-10 06:48
좋아요
l
(
0
)
저보다 철학 책을 즐겨 읽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꾸준히 공부하는 분들을 알게 돼서 이제야 철학의 맛을 알게 되었어요. 여러 철학자의 사상을 만나서 앞으로 살아가는 방식을 설정해 보고, 지나간 삶의 흔적들을 되짚어보면서 반성하고 싶어요. ^^
비밀 댓글
트위터 보내기
소셜 링크 설정
트위터 계정을 알라딘 소셜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트위터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페이스북 계정을 알라딘 소셜 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페이스북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