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가기
검색
비코드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나의 계정
주문조회
보관함
0
알림
추천마법사
베스트셀러
새로나온책
굿즈총집합
분야별 보기
이벤트
중고매장 찾기
매입가 조회
알라딘에 팔기
회원에게 팔기
국내도서
전자책
외국도서
온라인중고
우주점
커피
음반
블루레이
알라딘 굿즈
자동슬라이드 멈춤
북펀드
오디오북
고객센터
알라디너TV
알라딘 서재
북플
소셜 속 알라딘
신간 소식과 다양한 이벤트 정보를 받아볼 수 있어요
알림센터
장바구니
메뉴 전체보기
검색
조용한(홀로) 독서
글보기
서재 브리핑
방명록
닫기
공유하기
URL 복사
메뉴
차단
신고
백제의 장군
펠릭스 2025/03/16 05:40
댓글 (
1
)
먼댓글 (
0
)
좋아요 (
3
)
닫기
펠릭스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취소
차단
펠릭스
2025-03-16 08:26
좋아요
l
(
0
)
나당연합군에 의해 계백장군이 패(660년 8월 20일, 계백장군 전사)한 이후 백제부흥운동 또한 663년 9월 백촌강 전투 패배로 백제의 주요성이 투항하거나 항복한다. 지수신은 최소 2달 동안 농성함.
흑치상지의 말년의 행보에도 불구하고 백제부흥운동을 다룰 때 반드시 언급되는 것에 반해, 지수신은 이름조차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임존성(예산군 봉수산) 함락 이후, 백제부흥운동은 664년 4월 사비성에서 일어난 백제 유민 봉기도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임존성 함락으로 맥이 끊김.
이후 당나라가 부여융을 내세워 웅진도독부를 통해 백제를 당의 괴뢰국으로 부활시켜 신라를 견제하려 했으나 나당전쟁 초반인 672년 이후 당도 백제전역에서 광탈.
흑치상지(흑치 조상 부여씨로 흑치 지역에 봉해지면서 흑치를 성씨로 삼음)는 백제의 장수로 태어나 혈기왕성한 시대에 조국 백제의 멸망을 지켜보았고 적국인 당나라로 건너가서 무장으로 이름을 떨쳤지만 결국 죽임을 당함.
특히 노중국과 예산 지역의 향토 사학자들은 ˝흑치˝를 ‘검은니‘의 훈차로 보고 흑은 ‘검다‘는 의미로 금, 치는 물, 또는 내천이라는 의미로 물로 해석하여 백제 금물현이 있던 충남 예산군 덕산면, 고덕면, 봉산면 및 충남 당진시 합덕면 일대로 비정하고 있다.
또한 그의 아들 흑치준은 요절하였으나 흑치상지는 중국 북망산 묻히게함. 흑치상지 장군은 당나라의 ˝번장제도˝(한족이 아닌 이민족의 장수를 기용하는 제도) 때문에 당의 장수가 되었음.
비밀 댓글
트위터 보내기
소셜 링크 설정
트위터 계정을 알라딘 소셜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트위터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소셜 링크 설정
페이스북 계정을 알라딘 소셜 링크로 설정하시면 알라딘에서
제공하는 상품정보와 나의 서재글을 내 페이스북에
편리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