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헤드컨설턴트의 생각 나눔
  • 팀장을 위한 성과면담의 기술
  • 김정현
  • 18,900원 (10%1,050)
  • 2025-03-31
  • : 395

가장 중요한 관리 기법

인텔의 전설적인 CEO인 앤디 그로브는 자신의 한평생 경영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관리 기법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정기적으로 갖는 팀원과의 1:1 대화"라고 답변하였다고 합니다.

팀장에게 팀원과의 대화가 중요한 이유는 바로 팀의 성과와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조직은 팀장에게 '성과 창출'을 최우선으로 요구합니다. 팀장에게 있어서 '성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숙명 같은 것입니다.

조직은 성과관리 툴을 만들고, 팀장은 성과관리 툴을 통해 팀원들을 관리합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조정하고, 결과를 평가합니다. 이 모든 과정은 팀장이 논의하고 협의하고 대화하는 가운데 이루어집니다.


책의 구성

이 책은 팀장과 팀원이 총 9장에 걸쳐 성과를 위한 대화를 제대로 하기 위한 코칭 내용들이 담겨 있습니다.

1장과 2장에서는 팀장에게 요구되는 핵심 업무인 성과관리와 이를 위한 코치형 팀장 리더십에 대해 기술되어 있습니다.

3장과 4장에서는 성과 면담의 핵심 스킬인 '질문과 경청의 기술 그리고 피드백과 말하기 기술'에 대해 적혀 있습니다.

5장과 6장은 성과 면담의 기본 프로세스와 구조, 성과 면담의 각 단계에서 팀장이 수행해야 할 핵심 행동에 대해 언급합니다.

7장과 8장에는 원온원 성과 코칭의 구체적인 방법론, 9장에서는 팀장들이 성과 면담 시 많이 겪는 고충 사례들과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성과있는 리더가 되는 길

이 책을 읽으니 20여 년 전 직장 생활을 처음 할 때 느꼈던 팀장 그리고 제가 수행했던 팀장의 모습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조직에서 팀장은 무엇이든 척척 해결하는 능력자여야 했지요. 성과는 당연한 결과고요. 세월은 흘렀지만 예나 지금이나 팀장에게 거는 기대는 달라진 게 없는 듯합니다. 조직에서 이러한 관심과 사랑을 듬뿍 받는 팀장은 성과 창출로 보답해야 하는 건 피할 수 없는 운명입니다.

성과관리 패러다임이 책임 중심에서 성과 중심으로 바뀌고, 팀원들도 Z세대 이젠 알파세대까지 다양한 성향을 가진 이들과 함께 공존공생해야 하는 입장에서 팀장은 어떤 사람이어야 할까요?

요즘 바라는 리더 스타일은 영웅 스타일을 권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가장 바람직한 비율은 명령가 10%, 선생님 10%, 코치 80%의 팀장 스타일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코치가 80%이니 코칭 능력을 기르는 걸 게을리 할 수 없을 거 같습니다. 코칭은 '지시가 아닌 협력에 의해서'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며 복종이 아닌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합니다. 해답을 내는 사람은 팀원, 실제 행동하는 사람도 팀원. 대화할 때는 팀장보다 팀원이 더 많이 말하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 책의 내용들이 전혀 새로운 것들로 구성된 건 아닙니다. 어떤 팀장의 모습이 요구되는지, 팀장으로 가져야 할 자세와 능력들을 짚어주고 실제적인 사례들과 방법들을 소개하면서 자신이 놓치고 있는 점들을 직설적으로 언급해주어 쉽게 공감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지금 몸 담고 있는 조직에 있는 팀장이나 관리자들에게 소개해주고 싶다는 생각도 용솟음 치듯이 생겨났습니다. 성과있는 팀장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이들에게는 일독을 권합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