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허브니의 나라

모욕 독설 비난에도 상처받지 않는 관계의 심리학

감정사용설명서 2

 

 

 

 

 

 

 

 

 

 

 

 

 

 

 

건강하려면 꾸준히 운동하고, 근육을 단련해야 하는 것처럼정신도 그러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은 도리스 볼프라는 독일의 유명 심리학자가 쓴 책이다.

​책을 아주 쉽게, 정말 이렇게 쉬울 수가 있나 할 정도로 쉽게 썼다.

 

전체적인 내용은

여러 가지 이유로 상처받은 사람에게 ​

내가 왜 상처입었는지,

마음이 다치는 순간의 자동적인 매카니즘(?) 설명하고

상처받지 않을 다양한 전략 101가지를 소개한다.

그러니까 괴로운 순간에 던져지는 로프 같은 책이다.

마음이 너무 괴로워서 누가 내 심장에 소금을 친 것 같은 느낌이 들 때 딱인 책이다.

확실한 것은 이런 수많은 고통을 원인인 ‘마음의 상처’는 항상 자신의 존재 전체를 공격한다는 사실이다. 나라는 인간 전체가 무시당하고 거부당한 기분이 든다. 그래서 패자가 된 것 같고, 자존심이 상하며 모멸감이 든다. 심지어 그 비난에 내 목숨이라도 달린 듯 절박한 심정이 된다.​

​아무리 떨쳐버리려 머리를 흔들어도 그 일을 곱씹고 또 곱씹게 된다. 당연히 몸에도 좋을 리 없다. 만성질환이 찾아올 수 있고 그러다 퇴직하는 경우까지 생긴다. 내 동료 한 사람은 이런 공식까지 만들었다. 마음의 상처→질병→조기 퇴직.

이 책을 구입하게 된 결정적 부분이다.

마음이 이렇게 괴롭다가 몸에 병이 난다는 것이다.

난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다.

그게 무엇보다 내 가치 판단의 큰 기준이다. 난 진짜 진심으로 아프기 싫다.

그동안 스트레서받는 상황에서 벗어나는 내 유일한 대처법은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난다."였다.​ 귀로 들으면 되게 섭섭한 말이지만, 가만히 앉아서 생각해보면 언제나 최선의 대안처럼 보였다.​

마음에 상처를 피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고는 생각 못 했다.​

그런데 이 책에는 다양한 방법이 나온다.​

 

 

예를 들어서 A가 신입사원으로 무역회사에 입사했다고 치자.

성수기가 지나고 비수기가 되니까 바로 위에 상사가 ​

"이렇게 한가할 때 많이 배워놔. 지금 회사에 A 씨 일이 딱히 없는 거 알지?"​

이때 A는 본능적으로 호랑이를 만났을 때의 초식동물처럼 순식간에 판단을 해버린다.

"이제 바쁠 때​ 끝났으니 나가라는 건가?

야근을 그렇게 시켜놓고 사람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지!"

A는 그날 밤, 인간에 대한 회의와 함께 퇴사 고민을 하며 위염으로 밤새 뒤척인다.

 

 

​이게 전형적인 상처의 패턴이라는 것이다.

(책에는 예가 이렇게 않다. 그냥 내 느낌이 이런 느낌었다.)​

 

근데, 이 책에서는 생각을 해보라는 것이다.

 

상사는 그런 뜻으로 말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상사가 나가라는 뜻으로 말했어도 나는 다른 다르게 반응할 수도 있다.​ 전혀 상처받지 않을 수 있다.

 

 

오직 내 평가만이 나를 상처낸다.​

내 마음 안으로 아무도 못 들어온다.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은 독심술을 초능력이다. 그런 게 있으면 난 벌써 '세상에 이런 일이!'에 나가서 텔레비전 한 대 탔을 거다.​

 

 

​저자는 마음의 상처를 덜 받는 여러 가지 방법 중에 자신한테 맞는 걸 우선 써보라고 한다. 내가 요즘 즐겨쓰는 방법은 가끔 사장님이 스트레스 주시면 사장님 목소리를 헬륨가스 마신 목소리로 상상하는 거다.​

그럼 기분이 금방 원상태로 돌아온다.

내가 잘 가는 사이트 익명방에 가보면

상처받고 괴로워하는 사람이 많다.

20대의 나를 보는 것 같아 안쓰럽다.

그런 글마다 댓글로 이 책을 읽어보라고 얘기해주고 싶다.

정말 기분이 조절이 된다.​

좋은 책이다.

발랄하게 강추!​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