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에 뭘 쓴지가 정말 오래됐다.
여기저기서 올해의 반이 지나갔다며 올린 상반기 결산 글들을 보고서야 아, 그렇구나 실감했다.
이렇게 무감해진 데에는 코로나가 가장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코로나 이전과 같은 삶은 오지 않을 거라던 무서운 말을 들은 후에도 여전히 희망을 가지고 있어서 더 힘들었을 지도 모르겠다. 빨리, 조금이라도 더 안심하고 사람이라도 만날 수 있기를 너무 희망해서. 받아들이고, 지금 할 수 있는 걸 하면서 그냥 살자, 싶어도 그게 맘같지가 않았던 것. 재난대책본부에 있는 사람마냥 내내 확진자 수를 체크하고, 동선 살펴보고. 기사 읽고 하는 일에 에너지를 너무 많이 쓰면서 내 상반기가 날아가버렸다.
회사일+번역일도 겹치고 끝없는 방학으로 접어든 것 같은 아이 둘의 끼니 챙기는 것들로도 내 멘탈이 탈탈 털리긴 했다. 무려 1년씩이나 유지했던 요가도 접었지. 드디어 머리서기가 되려는 그 찰나!에 말이다. 요가를 못가게 되면서 다시 저질체력으로 빠르게 복귀, 요가하기 전의 몸으로 완벽하게 돌아왔다. 이 모든게 다 너 때문이라고, 이 코로나야.
그런데 어쩌랴, 내가 적응하는 수 밖에.
마음의 여유가 있어야 소설, 이라는 것도 들어오는 것인지 계속 에세이나 산문집 같은 것들만 읽었더니 그것도 질린다. 당신도 그렇구나 나도 그래, 같은 것들을 계속 읽고 있으니 그것도 지겹다. 도서관도 문을 안 열고, 예전처럼 마구 책을 사지는 못해서, 집이 있는 지겨워서 못 읽었던 소설책도 (억지로) 몇권 읽어봤다. 그런데, 역시 지겨운 건 지겨운 거다.
그리고, 친구가 선물까지나 해줘서 들게 된 책인데,
이런 류의 책이 그렇긴 하지만 스몰 스텝으로 시작하라, 는 하나의 메세지를 주구장창 얘기하는 책이라서 솔직히 좀 읽기 힘들었다. 그 한 문장이 새로운 것이라도 되면 모를까 '작은 습관의 힘'에 관한 책들은 그 전에도 많지 않았나. 하지만, 요즘같이 무기력한 때에, 다시 아주 작은 발걸음이라도 내딛자라고 또 다시 한번 '어찌될지 모를' 결심을 하게 되긴 했으니, 다행인가.
![](https://image.aladin.co.kr/product/13652/54/cover150/895807678x_1.jpg)
작가가 너무 매력적이어서 홀랑 빠졌던 에세이다. 대만에서 가장 사랑 받는 작가라는데 (나는 물론, 처음 듣는 작가였지만) 유명하다거나, 뛰어나거나 하는 대신 '사랑받는'이라는 수식어를 가진 것이 완전 이해된다. 작가 싼마오가 내 친구같다. 절판되었던 구판을 번역했던 분이 새로 번역해서 다른 출판사에서 내놓았다. 영광스럽게도 번역가분한테 새 책을 선물로 받았다. 번역도 참 좋다. 1권은 깔깔, 유쾌한테 반해 2권은 좀 가슴 아린 이야기들도 있어서 상반된 매력. 앞으로 나올 3권도 궁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