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의 수의》🤴⚔️
1453년 비잔티움 제국 마지막 황제를 만난 소년의 이야기
THE EMPEROR'S WINDING SHEET

✍🏻저자 : 질 패튼 월시 Jill Paton Walsh
📝옮긴이 : 김연수
📖펴낸곳 : 히스토리퀸
비잔티움 제국의 마지막 황제와 그의 수의🤴

🗺️《황제의 수의》는 단순한 역사 소설이 아닙니다. 저자인 질 패튼 월시는 철저한 고증과 함께 1453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을 아주 생생하게 되살렸습니다. 특히 이 소설은 비잔티움 제국 황제인 콘스탄티노스 11세를 중심으로, 잉글랜드 출신 소년 피어스 바버(브레티키)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그립니다.
💬소년은 난파 사고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발을 들이게 되지만, 황제와의 운명적인 만남과 더불어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됩니다. 황제의 곁에서 그의 마지막 여정을 지켜보며, 소년은 제국의 운명뿐 아니라 자신의 삶까지 변화시키는 거대한 역사 속에 서게 됩니다.
🎯 황제와 브레티키, 두 인물의 운명적 만남
🔖소설의 주인공인 피어스 바버는 우연히 황제를 만나면서 그의 부적 같은 존재, '브레티키(행운의 아이)'가 됩니다. 하지만 이 소년에게도 제국과 황제를 지키는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황제의 운명이 이미 정해진 것처럼 보이는 상황에서, 소년은 자신이 과연 황제를 지켜낼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됩니다.
특히 이 작품은 "로마의 마지막 황제 이름은 첫 번째 황제의 이름과 같다"는 예언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합니다. 그 예언을 뒤집을 수 있을지, 황제와 소년의 운명은 독자들을 손에 땀을 쥐게 합니다. ⚔️
💬황제의 마지막 순간, 그리고 신화로 남은 이야기





🗺️1453년 5월 29일, 비잔티움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는 결국 함락됩니다.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는 도시와 운명을 함께했고, 그의 시신은 끝내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를 기리며 그리스인들은 "황제가 언젠가 부활해 도시를 되찾을 것"이라는 신화를 만들었습니다.
📌《황제의 수의》는 바로 신화적 요소를 결합하여 황제의 마지막 날들을 감동적으로 그려냅니다. 황제의 갑옷과 망토, 그리고 그와 함께한 사람들의 헌신이 생생히 묘사되며 잉글랜드 소년 브레티키의 시각에서 본 마지막 황제와 비잔티움 제국의 몰락을 통해 독자의 마음을 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