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말해보기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1월 1일부터 시내버스 요금이 300원 오르면서 대중교통 문제에 대해 계속 생각하게 된다. 인상률은 21퍼센트이다. 말이 안되는 인상률이다. 버스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자가용을 타고 다니는 사람들만큼 힘이 있었다면 더 많은 말이 나왔을 것이다. 수도권에도 똑같이 오른다는데 사람들이 얼마나 저항할지, 그대로 관철될지 궁금하다.


  전기요금이 21퍼센트 오른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사람들이 더 자원을 아껴써서 사회 전체적으로 자원을 더 적게 사용할 것이다. 하지만 대중교통은 다르다. 대중 교통요금이 21퍼센트 오르면 사람들이 자가용을 더 많이 몰고 다닐 것이다. 사람들이 더 많이 자가용을 몰수록 더 많은 자원을 소모하고 대기오염도 심해진다. 대중교통은 요금과 상관 없이 같은 양의 자원을 소모한다. 사회적으로 더 적은 자원을 쓰고 대기오염도 줄이려면 대중교통 요금이 오르면 안된다. 대중요통 요금은 더 낮아져야 한다. 


  이러한 고민을 하던 중에 독일에서 9유로 티켓(한달 정기권)이 도입되었다는 걸 알게 되었다. 한국에서도 꼭 9유로 티켓 같은 것이 도입되었으면 한다.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두거나 부자증세를 하면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세금을 줄이고 시민의 부담을 늘리는 이번 정부에서는 힘들다.


  시골일수록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이동하기 힘들다. 내가 사는 곳에서는 하루 12대의 버스만 지난다. 한 시간에 한 대 꼴인데, 적어도 30분에 한 대는 지나야 한다. 시골 지역의 버스 이용과 관련해서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는 사례를 몇 가지 들어보고 싶다.


  이 글을 쓰는 오늘 시립교향악단의 공연이 있는데 공연이 9시 이후 끝날 것 같다. 그런데 내가 사는 곳의 막차는 공연장 근처에서 8시 40분쯤 지난다. 공연 티켓은 5천원으로 매우 저렴하지만, 공연을 보려면 차를 타거나 버스가 가는 곳까지 중간 지점까지 이동해서 택시를 이용해야 한다. 택시비는 최근에 올라서 정확하지 않지만 만 오천원 이상이다. 이러한 상황이 너무 화가 나서 글을 쓰게 되었다.


  시내버스 이용 관련해서 지엽적으로 보이지만 너무도 중요한 상황이 하나 더 있다. 지선-간선 문제이다. 나는 최근에는 가끔만 겪는 상황이지만 과거에 매일 멀리 이동해야 했을 때는 매일 겪는 일이었다. 지금 상황은 버스 하나로 줄기와 가지 모두 이동해야하는 상황이다. 그림을 그리면 더 잘 설명할 수 있을텐데, 자동차 이용자들은 줄기로만 이동하지만, 버스 이용자는 가지까지 거쳐서 돌아가야 한다. 원래는 비용을 투입해서 가지로 이동할 버스를 따로 마련해야 하지만, 예산이 부족하단 이유로 시민들의 시간을 잡아먹는다. 그 가지에는 사람이 적게 살아서 아무도 타지도 내리지도 않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 가지를 없애자는 게 아니다(가지에 사는 사람들도 이동권이 있다). 그 가지를 거쳐서 수백명의 사람들이 돌아가도록 만드는 상황이 너무 화가 난다. 속 터지는 상황이다.


* * * * *


  <기후위기와 자본주의>에 대중교통을 급진적으로 편리하게 만들자는 제안이 나온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