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길쑥언니의 책방
  • 유럽 책방 문화 탐구
  • 한미화
  • 20,700원 (10%1,150)
  • 2024-07-05
  • : 1,291

나는 어쩌자고 또 이런 책을 구매하고 읽게 되었을까 생각해보면 스스로 궁금하기도 하다.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다보니 책방에도 관심이 많아진걸까?

그동안 서점을 다룬 책을 여러권 읽었는데 또 읽는다.

아마도 책을 좋아하니 책방 주인이 되고 싶다는 마음이 가슴 속 어딘가에 숨어있나보다.

그러다 보니 이런 책들을 사고 읽게 되는가봐요.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어서오세요, 휴남동 서점입니다.

오랜만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소설을 만났다. 어떻게 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큰 갈등상황없이 밋밋한 내용이...

blog.naver.com

섬에 있는 서점

 섬에 있는 서점

섬에 있는 서점 작가 개브리얼 제빈 출판 루페 발매 2017.10.05. 평점 몇 년 전에 [어느 날 서점의 주인이 ...

blog.naver.com

서점일기

  서점 일기저자숀 비텔출판여름언덕발매2021.01.20.

서점일기는 리뷰를 썼다고 생각했는데 찾아보니 없네요.

어느날 서점의 주인이 되었습니다.

  어느 날 서점 주인이 되었습니다저자페트라 하르틀리프출판솔빛길발매2015.08.14.

리뷰를 작성한 책도 있고 리뷰를 작성하지 않은 책도 있네요.

유럽책방문화탐구라는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저자인 한미화씨의 경력을 알아야 한다.

출판평론가 라는 직업을 갖고 있으며 여러 출판사를 거쳤으며 지금은 동네책방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한다.

[동네책방 생존탐구] 라는 책을 통해 동네서점을 일반 독자들에게 알려왔다.

  동네책방 생존 탐구저자한미화출판혜화1117발매2020.08.05.

그가 동네책방의 미래를 좀더 심도깊게 이해하기 위해 영국과 프랑스로 향했다.

미래를 알기 위해서는 과거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마음이었을까?

영국과 프랑스의 동네책방은 어떤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어떻게 생존해 왔는가?

그들은 어떤 문화를 지니고 있는지를 직접 발로 찾아다니며 책을 완성했다.

1부 아름다운 도시를 만드는 아름다운 책방문화

2부 영원히 마르지 않는 콘텐츠의 발신처, 동네책방

3부 동네책방은 지역을 어떻게 빛나게 하는가

4부 책이 있는 세상의 더 깊은 세계속으로

서점은 어떻게 발전해왔고 온라인 서점에 대항해서 어떻게 변화했으며,

대형서점에서 다시 동네책방으로 돌아오게 된 것은 왜 인지를 영국과 프랑스의 서점과

책방거리를 답사하며 답을 찾으려고 한다.

나도 어제 울산의 동네 책방인 책방카페 바이허니를 다녀왔었고

책방 바이허니

독서모임을 하고 있던 장소인 캐롤라인의 정원이 업종이 변경되어 새로운 곳을 찾다가 발견한 곳입니다. 울...

blog.naver.com

우리 동네에 있는 [당신의 글자들]이라는 책방도 가끔 들른다.

동네책방 - 당신의 글자들

책을 좋아하다 보니 평소에 동네책방에도 관심이 많다. 몇몇 책방은 블로그 이웃이기도 해서 소식과 활동을...

blog.naver.com

흔히 독립서점이라 불리는 동네서점들이 하나 둘씩 주변에 생겨나고 있다.

서점의 위기라는 말을 들은지가 꽤 오래 되었고 출판사업이 망해간다는 이야기도 쏠쏠히 나왔는데

이와는 반대로 동네서점이 생기고 유지가 되는 것은 참 신기하다.

나도 책을 살때는 주로 온라인 서점을 이용하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조금이라도 더 싸게 그리고 쉽게 구매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알고리즘을 통해 수시로 전해오는 신간서적의 소식들은 구매욕을 올리고는 한다.

하지만 오프라인 서점을 가게 되면 온라인 서점과는 또 다른 맛이 있다.

온라인 서점에서는 출판사가 제공한 책소개가 있지만 오프라인 서점에서는 그걸 무시하고 책 정보를 직접 볼 수 있다.

내가 책을 구매하는 방법중에 자주 쓰는 게 도서관을 이용하는 거다.

항상 서점에 가서 직접 책을 볼수는 없으니 보관함데 담아두었다가 도서관에 가서 실물을 영접하는거죠.

목차도 확인하고 머리말도 읽고 중간부분을 열어서 읽어보면 사야할지 대여해서 봐야할 지 판단이 서는거죠.

책방을 열고 내가 읽고 싶은 책만 팔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그렇게는 생계가 유지되지 않겠죠!

아마 로또가 당첨되면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