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책 판매가 쉽지 않은 것이다. 책의 미래가 불투명한 것이 아니라 출판업계가 불황을 겪고 있는 것이다.
『책의 역습』의 저자 우치누마 신타로는 "서점과 도서관 이외에 책이 있는 장소를 만들어 책과 사람에게 지금까지 없었던 '사이'를 만들기 위한"(51쪽) 다양한 시도를 한다.
음식점 메뉴 사이에 책을 넣는 식이다. 음료를 주문할 때 문고판 책을 같이 넣어 손님 테이블 놓이게 만든다. 책과 사람에게 지금까지 없었던 '사이'를 음식점에서도 실험해 본다. 의류와 잡화점, 인테리어 가게 등 다른 업종의 소매점에 책을 파는 장소를 만든다. 책의 역습이다. 서점 이외에도 책이 있는 장소를 늘릴 수 있다.
책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과거 수목의 내피에 글을 적어 낸 형태에서 양피지, 디지털 형태의 책 유형까지 책이 아닌 것이 없을 정도로 모든 것을 책으로 부를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이 또한 책의 역습이다. "책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인지는 사람에 따라, 시기에 따라 변해갔다:" (65쪽)
앞으로 책을 위해 저자가 생각하는 10가지를 참조하면 좋을 듯싶다. _102쪽
1. 책의 정의를 확장해서 생각한다.
책의 정의를 출판유통을 통하는 것에서 서가를 채우는 것으로 확장한다. 책을 좁은 정의로 한정하지 않고 이것도 책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2. 독자의 사정을 먼저 생각한다.
3. 책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누어 생각한다.
4. 책의 가장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생각한다.
5. 책의 단위를 생각한다.
6. 책과 인터넷 접속을 생각한다.
7. 책의 국경을 생각한다.
8. 제품으로써의 책과 데이터로서의 책을 나누어 생각한다.
9. 책이 있는 공간을 생각한다.
공간에 어떤 책을 진열하느냐에 따라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브랜딩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10. 책의 공공성을 생각한다.
저자가 책의 미래는 밝다고 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서점은 줄어들 수 있지만 책방은 늘 수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한다. 서점과 책방의 차이다. 서점은 물리적인 공간에 책을 진열하고 책을 파는 곳이 서점이라면 책방은 책과 함께 사람과의 관계를 주선하며 각종 이벤트를 연다. 책만 파는 것이 아니라 책과 함께 파는 것들을 손님의 시선에서 발견한다.
학교 도서관의 활용 방안도 다각적인 측면에서 생각하면 어떨까?
책만 진열하는 장소가 아닌 학생들을 책으로 유혹하기 위한 참신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야 하지 않을까. 책이 지저분해지면 어떤가. 책을 보관하는 장소가 아닌 이상 책은 찢어질 수도 있고 더러워질 수도 있다는 생각으로 도서관 문을 과감하게 열어젖히면 어떨까?
책이 저자와 독자의 매개 역할을 하듯이 도서관이나 책방도 세상과 학생, 사람과 사람과의 연결을 잇는 매개자의 역할을 하면 좋을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