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푹 젖어 읽고 정밀하게 생각하라" _196쪽
김치도 숙성되어야 제맛이 나는 것처럼 책도 그렇다. 대충 훑고 읽었다는 것은 배추를 생으로 먹는 것과 같다. 빠르게 읽고 많이 읽었다고 자랑하는 것은 숙성되기도 전에 김치를 먹어 보고 맛이 아주 좋다고 이야기하는 꼴이다. 책은 자고로 푹 삭혀서 읽어야 한다. 옛 조선의 탐독가들은 모두 '숙독'을 기본 베이스로 깔고 독서의 삶을 살았다.
"독서는 먼저 마음을 비우고 기운을 평온케 하며, 익숙하게 읽고 정밀하게 생각해야 한다"
한 글자 한 글자 허투루 읽을 수 없다. 정밀하게 읽기 위해서는 글자에 담긴 정신과 맥락을 생각하며 읽어야 한다. 정밀하게 읽으면 생각이 뒤따를 수 없다. 생각 없이 읽는다는 것은 눈으로만 글자를 따라가는 꼴이다.
"글을 읽는 일도 수십 번을 조심스럽게 반복해서 음미하는 과정을 거쳐야 진정한 경지에 이른다. 익숙하게 된다는 것은 글을 암기하는 수준에 머무는 게 아니라 글에 푹 젖어 글과 내 생각이 일체가 되는 경지에까지 도달하는 것이다" _198쪽
책만 보는 미치광이였던 이덕무는 독서로 가난을 이겨냈다. 읽고 또 읽으며 자신의 아킬레스건이었던 노둔함을 반복 독서로 극복한 백곡 김득신은 조선 최고의 다독왕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조선 최고의 명군이었던 세종대왕은 우리가 잘 알듯이 책과 함께 살았던 임금이었다. 그는 나라를 책으로 경영한 최고의 리더였다. 독서를 권장하기 위해 '독서휴가제'까지 만들 정도였으니 말이다.
다산 정약용, 홍길주, 홍대용, 이익, 이순신, 이이, 허균, 박지원, 정조, 양응수는 조선 지식인의 독서 리더십을 삶으로 보여준 이들이다.
박수밀의 『탐독가들』이야 말로 수십 번 반복해서 읽고 또 읽어야 할 책이다. 일상의 삶이 바쁘다고 하여 간단한 동영상을 통해 정보를 가볍게 얻는 우리에게 조선의 독서 리더십을 보여준 독서 대가들의 일침을 다시 한번 가슴에 새기며 깊어가는 가을, 다시 한번 책장을 깊게 펼쳐보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느슨해진 독서의 고삐를 다시 잡아당겨야겠다. '푹 젖어 읽는 삶'을 통해 멋지게 나이 먹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