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회 창비 그림책상 심사위원들이 생각하는 그림책 읽기도 다른 장르의 책 읽기와 맥을 같이 한다. 되풀이해 읽을수록 조금씩 다르게 읽히는 것은 좋은 책의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그림책은 줄글보다 그림이 우세하며 문자보다 기호가 작품을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그림책을 읽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구상한 기호와 그림책의 배경이기도 한 이미지를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읽어야 한다. 분명한 것은 지루할 틈이 없다는 점이다. 언제든지 그림책을 펴더라도 부담감이 작용하지 않는 점이 그림책이 주는 묘한 매력이기도 하다.
『새처럼』 우리 아이들이 자랐으면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다. 지금도 지구 한 편에서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생명이 하나의 물건처럼 취급당하고 있다. 이제는 죽음의 소식이 전해지더라도 남 이야기처럼 들린다. 전쟁이 가져다준 결과다. 점점 무뎌지고 있고 다른 이의 삶은 중요하지 않게 되어 버렸다.
『새처럼』 평화의 소식이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에 가득했으면 한다. 우리의 가정에서부터 시작되었으면 한다. 안전하게 평화롭게 자라는 학교가 되고 지역사회가 대립과 싸움이 아닌 화해와 조정으로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위로해 주는 성숙된 모습이 되기를 바란다.
어른들이 먼저 평화를 소중히 여겨야 한다. 학교에서는 교사들이 먼저 평화의 자세로 사람들을 만나야 한다. 어른과 교사가 그런 삶을 살지 않는데 어떻게 어린이들에게 평화의 삶을 가르칠 수 있을까?
평화의 삶을 살기 위해서는 내 것부터 내려놓아야 한다. 자신의 욕심과 이기적인 생각을 버리고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으로부터 시작된다. 내 것부터 챙기려 할 때 평화는 말뿐인 구호로 전락당한다. 평화는 구호가 아닌 삶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우리가 몸담고 있는 모든 공동체에 소속된 사람들이 새처럼 자유롭게 평화롭게 살았으면 참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