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아이들은
칼릴 지브란
당신의 아이들은 당신의 소유가 아닙니다.
그들은 당신을 거쳐 태어났지만 당신으로부터 온 것이 아닙니다.
당신과 함께 있지만 당신에게 속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아이들에게 사랑을 줄 수는 있지만
생각을 줄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자기의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아이들에게 육체의 집을 줄 수는 있어도
영혼의 집을 줄 수는 없습니다.
그들의 영혼은 내일의 집에 살고 있고 당신은 그 집을
결코, 꿈속에서도 찾아가면 안 되기 때문입니다.
당신이 아이들처럼 되려고 노력하는 건 좋지만
아이들을 당신처럼 만들려고 하지는 마십시오.
삶이란 뒷걸음쳐 가는 법이 없으며,
어제에 머물러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
큰애가 초등학교 저학년일 때 마음속에 담아두고 내심 '옳다'고 생각하며 자녀교육의 등대로 생각했던 싯귀다. 상담이론 중에서도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 마음에 와닿았던 때이고...지브란과 로저스가 자녀교육에 대해 이야기하면 이 시로써 결론을 내리지 않을까? 싶다.
가끔씩 생각나는 유아영어교육 프로그램의 한 대목;
아이가 학교에서 상을 받아서 기뻐하며 엄마에게 보여주었다.
엄마:(기뻐하며) "It's good for you!"
신선했다. 우리나라 엄마 같으면 대부분 "잘했어!" 라고 할텐데... 우리는 아이가 잘하면 가족 전체의 경사고, 못하면 가족 전체의 불행인걸... '너를 위해 잘된 일이야' 같은 cool 한 생각을 하는 엄마가 얼마나 될까? 나도 이렇게 cool한 엄마가 되고 싶었더랬다...
큰애가 중학교 3학년이고, 둘째가 초등 4학년, 막내가 1학년인 지금, 전처럼 이 시도, 그 대사도 마음에 와닿지 않는다. 내가 좀더 현실적인 사람이 되어가기 때문일 거다. 서양의 가족 문화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줄어들고, 좋건 싫건 간에 한국 사회와 우리 시댁 가족 문화의 현실을 수용하게 된 건지도...아노미 상태에서 조금 벗어나서, 전보다는 '기가 막혀서...'라고 생각되는 상황이 많이 줄었다. 나이가 먹어가나보다.
친구도, 남편도 자주 이야기 나누다보면 서로 의견이 조정되고 가치관도 변화해 가는데, 하물며 의식주를 함께 하면서 기쁨과 눈물, 한숨을 진하게 나누는 자식들과는 생각을 안 주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생각이다. 아이들이 어릴 때는 특히.(나처럼 만들고 싶지 않아도...) 다만, 아이들이 커가면서 친구들과 선생님, 이웃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그들과 생각을 교류하고 부모의 생각도 비판해보는 과정을 거쳐 자신의 사고체계를 다듬어 나가는 것이겠지.
지브란이 경계하는 것도 '부모 생각이 옳으니까 너는 그대로 하기만 해.'라고 강요하지 말라는 이야기겠지?
부모가 아이에게 '내 생각은 이래.'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본다. 가정도 하나의 사회이기 때문에 지켜야할 예의와 질서가 있고, 아이들이 어렸을 경우, 가정을 이끌어가는 쪽이 부모이므로 부모가 바라는 원칙들을 아이들에게 분명하게 알려주어서 그것을 존중하고 지키는 마음가짐은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갈 때도 꼭 필요한 덕목이라고 본다. 다만, 원칙이라는 것이 너무나 high standard라서 아이들을 얽매지 않도록 융통성있게 조정하는 지혜가 필요하겠지. 상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될 것 같다. (이런 것들도 아이를 갖기 전에 미리미리 생각해 두었더라면 아이 키우기가 덜 힘들었을텐데...-'내 생각이 옳다'라는 무의식적 오만과 '남편 생각은 고루해.'라는 편견을 가졌던 나의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