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줄리뷰:하루키의 문학세계야 말로 1Q84 년도에 있는 것만 같다. 달이 두개 떠 있어, 어떤 것이 현실의 달인지 짐작할 수 없구나.....
고등학교때 무라카미 하루키라는 작가를 알게 되고, 참 다행이라 생각했더랬다.'상실의 시대(노르웨이의 숲)'을 단숨에 읽어 내리고는, 이 작가, 참 마음에 든다 라고 생각했다.
문장과 문장 사이에서 범상치 않은 필력을 느꼈고, 범상치 않은 상상력을 접했다.상실의 시대 이후에는 하루키의 에세이집에 빠져들었다. 하루키만의 사고방식을 가감없이 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삶을 조금은 부러워하게 되었다.재즈카페를 운영하며, 글을 쓰면서 외국을 드나드는 생활은 누구나 한번쯤은 부러워 할 법한 삶이 아니던가.
그후로 오랫동안,하루키 문학을 접하지 않았다. 사는데 바빳기 때문일까.
해변의 카프카를 읽었지만, 잘 기억에 나지 않았다. 집중해서 읽을 수 없었기 때문이리라. 아님 내가 변했거나. 하루키가 변했거나.
그리고 최근,1Q84를 읽었다. 읽는 중간에 생각했다. 아...이제 하루키의 세계는 너무 어려워. 추상적인 것의 도를 지나쳐서 자기 혼자만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만 같아.
1Q84의 2권을 마무리하고는 또 생각했다.그렇지만, 무엇을 얘기하고 싶은 것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그렇기때문에 하루키가 사랑받는가보다.
알수없는 설정, 이해할 수없는 대사, 뒤죽박죽 섞인 사건과 시제들.이해하는 것이 더 이상한 스토리들.
이것이 하루키의 세계다.그래서 1Q84는 내인생 최고의 이해할 수 없는 소설이지만, 또 그만큼 오랜 여운이 남는 소설이다.
어떻게 보면,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닮았다.
새는 알을 깨고 나와야 비로소 세상과 만나는 것처럼,공기 번데기를 깨고 나와 비로소 세상과 만나는 성장 소설.
곧이곧대로 성장을 얘기하고 싶지 않았을 것이다. 하루키라면.비현실적이고 꽤나 상상력이 필요한 장치들을 구석구석 밀어 넣어야 비로소 하루키답다.
매우 건전한 주제이지만, 결코 건전하지 않은 이야기.
1Q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