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아주 BOOK적 BOOK적한 나날들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일본편 2
  • 유홍준
  • 14,850원 (10%330)
  • 2013-07-25
  • : 6,241

설에 며칠간의 연휴가 더 생겨서 가족이 함께 여행을 하기로 했다. 짧은 휴가라서 멀리는 못가고 가까운 일본이나 가볼까 했는데 망국적인 위안부 협상이 타결되고 아베가 자꾸 망언을 해대는 바람에 열받아서 여행을 때려칠까 싶었다. 그러나 가족들이 모두 함께 쉴 수 있는 모처럼만의 기회라 이왕 갈거면 유홍준선생님의 답사기를 따라 가서 우리 문화가 일본 문화랑 어떻게 교류했는지를 알아보는 여행으로 만들어보자 싶었다.

그래서 여유롭게 놀고 즐기려던 계획을 살짝 바꿔서 나라와 교토쪽으로 일정을 새로 짰다.

그러니 이제 답사기 정독은 필수!! 그간 사놓기만 하고 읽어보지 못했던 답사기를 꼼꼼히 읽어보았다.

 

답사기를 시작하며 유홍준 교수는 한일 모두 콤플렉스의 색안경을 벗어던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본인들은 고대사 콤플렉스 때문에 역사를 왜곡하고, 한국인은 근대사 콤플렉스 때문에 일본문화를 무시한다"는 것이다.

고대사, 특히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역사를 보면 사실상 가야와 왜까지 포함하여 오국시대라 해야할 만큼 서로간의 교류가 많았다. 민족주의의 시각에서 민족과 국가를 일치시켜 역사를 보는 시각에 익숙해 있어서 고구려,백제,신라가 한 민족으로 한 편이고 왜은 외적이라는 선입견이 있으면 고대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저자는 재밌는 비유를 들어 설명하는데 마치 1500년뒤 후손들이 오늘날 남북한이 대치하면서 북한은 중국과 남한은 미국과 가까운 것을 모르고 '그래도 남북한이 속으로는 하나였겠지'라고 생각한다면 21세기 한국역사가 바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답사기를 읽으며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이 그런 부분이었다. 어떻게 문화가 전파되어 갔으며 그 문화가 일본만의 개성으로 발전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 그리고 문화의 전달자에 대한 예우가 매우 깍듯하고 문화재를 소중히 관리하는 일본의 태도에는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외국의 역사는 사실 흥미를 갖기가 어렵고 게다가 악감정이 아직도 남아있는 일본의 역사라니 더욱 관심이 없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아스카-나라시대의 유물과 유적들을 따라가며 배우는 역사는 꽤나 흥미롭다.

시험에 나온다는 부담이 없으니 이야기식으로 흘려 들어도 좋고 사진으로 보는 유물과 풍경들이 지루할 새가 없이 멋있고 아름답다.

게다가 일본의 고대문명이 한반도로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엄연한 사실이고 가야가 멸망하고 백제가 멸망하면서 일본으로 건너간 도래인들이 일본의 문화를 일으켜 세우고 그들의 후손들이 독특한 일본만의 개성있는 문화로 발전시켜가는 과정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어서 좋다.

 

그러니 문화를 공부할 때 무조건 너희의 역사는 죄다 우리가 전해준 거라는 식의 우리의 시선도, 한반도를 '거쳐' 대륙문화가 들어왔다는 식의 일본의 시선도 지양해야 한다. 한반도의 도래인들이 건너가 이룩한 문화는 한국문화가 아니라 일본문화다. 일본의 고대문화를 이러한 시선에서 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를 가져야 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이 책 중에서 꼭 내 눈으로 확인하고 싶었던 유물을 소개해 본다면, 법륭사의 백제관음상이다.

 

 

 

# 백제관음 앞에 서는 찰나, 심연을 헤매는 것 같은 불가사의한 선율이 되살아나왔다. 희미한 어둠 속 법당 안에 흰 불꽃이 하늘하늘 피어 올라 그것이 그대로 영원 속에 응결된 듯한 모습을 접할 때,우리들은 침묵하는 것 이외에 다른 길이 없다. 이 흰 불꽃의 흔들림은 아마도 아스카 사람들의 고뇌의 선율일 것이다. 미술 연구를 위하여 야마토를 찾는 것은 마지막에나 할 일이고, 불상에는 합장하여 배례하러 가는것이라는 단순한 이치를 이때 처음으로 깨달았다. 나는 신앙은 있어도 불교도는 아니다. 그러나 망연히 서서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예배를 올렸다. (179쪽) - 가메이 가쓰이치로의 <야마토 고사 풍물지>중 인용한 부분

 

나는 저 관음상의 우아하고 어여쁜 몸매와 잔잔한 미소를 머금은 얼굴도 물론이지만 무엇보다도 술병을 가볍게 쥔 왼손에 매료되었다. 남편이 술 좀 작작 좋아하라고 놀려대지만 아...나도 앞으론 저렇게 매력적으로 술병을 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는!

 

그리고 법륭사(호류지)하면 우리에게도 익숙한 곳이다. 담징이 금당벽화를 그렸다는 곳. 인터넷 검색을 하다보니 누가 지식인에 "아!!!!! 대체 담징은 벽화를 몇개나 그린 거예요?? 법륭사에도 그렸다고 하고 호류지에도 그렸다고 하고!!!! 외우기 어렵....." 이런 글을 올렸던데.....같은 곳이다. ㅋㅋ

법륭사의 금당벽화는 우리는 담징이 그렸다고 확실하게 알고 있지만 저자는 연대를 따져볼때 만약 담징이 그렸다고 해도 지금 전해오는 그 작품은 아닐 것이라고 한다. 담징이 그렸다는 전설은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일본에는 그렇게 전하지 않는다고.

 

 

그리고 일본의 문화재 보존에 감동받았던 것이 정창원의 보물들을 소개하는 부분이었는데, 일본인들은 신라에서 수입했거나 선물로 받은 그릇의 포장지까지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다는 거다. 1933년 정창원이 소장 유물을 정리하던 중 화엄경론의 배접지로 사용된 종이를 발견한다. 이것은 지금의 청주지방인 서원경의 4개 촌락에 대한 기록 문서인데 쓸모없는 파지가 되자 배접지로 재활용한 것이었다. 이 배접지 조각이 <신라장적>이라는 유물로 다시 살아나고 이를 통해 우리는 신라인의 일상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신라가 '좌파리 가반'이라는 청동사발을 보내면서 싼 종이까지 <신라 제2 장적>이라고 보관하고 있었다. 아..지독히도 꼼꼼한 일본인이여!!

 

이 책을 쓰며 저자는 일본의 유적에 깃든 한반도의 문화를 찾고 읽어내지만 그들 스스로 발전시키고 독창적으로 만들어낸 문화재에 대해 열렬한 찬사를 보내는 것도 참지 않는다. 독일인이 미켈란젤로에 감동하듯, 이탈리아 사람들이 독일의 뒤러에 감동하듯, 일본 미술사가들이 석굴암에 감동하듯 저자도 일본의 불상을 예찬하는게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문화재를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보전하려고 하는 그들의 태도는 칭찬받을만 하다. 유적이 관광지로 개발이 되어도 우리처럼 편의시설이 유적의 코앞에까지 들이닥치는 일은 없다고 한다. 불편함을 감수하고서라도 옛 그대로의 모습을 즐기는 걸 좋아하는 그들의 태도가 소개된 곳들마다 보였다.

 

# 위대한 예술은 이렇게 시공을 넘고 국적을 뛰어넘어 인류의 보편적 가치로 다가오며 우리를 하나로 묶어낸다. 그렇다면 예술이야말로 과거사를 치유하는 가장 좋은 약재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273쪽)

 

정치인들이 망언을 쏟아내고 이데올로기를 뒤집어쓴 일부 학자들이 역사를 왜곡하고 있지만 아마 그들은 진정으로 문화를 사랑할 줄 모르는 사람들일 것이다. 과거사 문제는 서로의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 존중하는것으로부터 풀어가야 하지 않을까?

그러나 이 글을 쓰는 순간에도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저들의 태도에 불끈 불끈 화가 치민다. 어제 고등학생들이 세운 평화의 소녀상에 신영복 선생님이 기꺼이 글씨를 써 주셨다는 기사를 본지라 더욱 그렇다. 어찌 문화재에 대해 그렇게 지극정성인 사람들이 타국의 소녀상에 대해서는 함부로 말하고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는가.

그들이 진정으로 문화와 역사를 사랑할 줄 알게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