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레이더망에 미확인 비행물체가 잡혔다. 정보를 분석해보니 탄도미사일이다. 불운인지 해킹인지 알 수 없지만 미국의 군사위성은 이 미사일이 발사됐을 찰나의 순간 작동하지 않았다. 즉 이 미사일이 어디에서 발사된 것인지를 알 수가 없다. 다만 미사일의 궤도를 추정해보니 한국의 동해상 근처이다. 북한, 중국, 러시아 모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이 미사일이 무엇을 싣고 있는지도 알 수가 없다. 핵탄두를 싣고 있는 것인지, 탄두 없는 발사 시험체인지 확신할 수 없다. 다만 이 미사일이 현재의 궤도로 계속 날아간다면 시카고 어디 쯤엔가 떨어질 확률이 높다는 것만 추정할 뿐이다.
백악관의 상황실은 혼돈에 빠졌다. 당장 어떤 일이 벌어질 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갈팡질팡이다. 다행히 이런 일이 벌어졌을 때 대처하는 매뉴얼이 있다. 상황실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정신을 차리고 이 매뉴얼에 따르기 시작한다. 먼저 해야 할 일은 일단 이 미사일이 미국에 떨어지는 일을 막는 것이다. 요격 미사일을 발사한다. 매뉴얼 대로 두 개의 미사일만 발사된다. 혹시나 모를 연이은 미사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 두 개의 요격 미사일 모두 탄도미사일을 격추하는데 실패한다. 미국의 시카고 시민을 대피시키기엔 늦었다. 앞으로 남은 대책은 이 미사일에 대한 보복 여부 뿐이다. 어디서 발사 된 지 알 수 없고, 아직 피해를 입은 것은 아니지만, 이런 참극에 대한 보복을 강력하게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에 대부분 의견일치를 보인다. 하지만 어디로, 어느 수준까지 보복해야 하는 것일까.
영화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는 벌어져서는 안될 일이지만 벌어질 가능성이 언제든 있는 탄도미사일 한 방의 여파를 그리고 있다. 영화는 세 파트로 나누어져 백악관 상황실의 모습에 이어 대통령까지 서로 다른 시선으로 이 사건을 바라본다. 결국 마지막 결정은 대통령의 선택에 달려 있다. 과연 미국의 대통령은 어떤 선택을 할까. 영화는 이 과정을 세 가지 시선으로 잠시의 여유도 주지 않고 세차게 몰아간다. 이 급박한 전개로 숨이 멎을 정도로 흥분이 된다. 감독 캐서린 비글로우의 연출이 돋보인다.
영화를 지켜보고 있자면, 세계 최강국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위기 대처 시스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짐작하면서도 이 시스템이 얼마나 불안정한지를 깨닫게; 된다. 더군다나 정보가 뚜렷하지 않을 경우 인간의 마음 깊숙한 곳에서부터 발생하는 공포와 두려움이 시스템으로 보완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또한 결국 모든 선택의 권한이 지도자 한 명에게 주어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직시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현재 어떤 이가 지도자로 있는지에 따라 세계의 운명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영화 <하우스 오브 다이너마이트>는 이 세상이 언제 어떻게 터질지 모를 폭탄 속에 파묻혀 있는 집이라는 것을 알려 준다. 또한 정말 이대로 영화가 끝나는 거야? 라는 탄식도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