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하루살이

최근 캄보디아 범죄집단의 보이스피싱과 사기범죄로 인한 사건으로 한국이 들썩였다. 한국의 젊은이들이 돈의 유혹에 이끌리거나 속아서, 일부는 자발적으로 이 범죄에 엮이면서 목숨을 잃는 사태까지 벌어졌기 때문이다. 이번 사건을 보면 이런 범죄집단이 동남아 국가 사이에서 권력과 연계해 매우 조직적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범죄에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물론이거니와 범죄에 가담한 이들 사이에서도 인권 유린과 고문 등 심각한 문제가 발견되었다. 


이런 보이스피싱을 다룬 한국 영화도 있다. 2024년 개봉한 <시민덕희>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고, 2021년 <보이스>는 보이스피싱의 범죄집단과 본거지의 모습을 리얼하게 묘사해 눈길을 사로잡았다. 이 범죄의 배경이 된 곳은 모두 중국이었다. 넷플릭스에서 오픈한 <회혼계>는 대만에서 만들어진 9부작 시리즈 물로 서기, 리신제가 주연으로 나온다. 벤카라는 가상의 도시에서 벌어지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소재로 다루고 있는데, 이 범죄조직이 이번 캄보디아 사건과 닮아 있어 관심을 끈다. 


시리즈 <회혼계>는 벤카의 보이스피싱 범죄 집단에 감금되었다 결국 목숨을 잃거나 식물인간이 되어버린 두 어린 소녀의 엄마가 벌이는 복수극이다. 두 엄마는 기어코 이 범죄집단의 두목을 기소해 결국 사형까지 이끌어낸다. 하지만 막상 사형이 집행되고 나니, 복수를 했다는 통쾌함보다는 허무함이 더 크다. 그냥 이렇게 사형으로 끝내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의문마저 든다. 두 엄마는 목숨을 빼앗는 것이 복수의 끝이 아니라 딸들이 당했던 고통을 고스란히 똑같이 안겨줘야 만이 복수라 할 수 있다며, 새로운 작전을 꾸민다.


실은 여기서 이 시리즈물의 진입장벽이 생긴다. 현실적인 미스터리물이자 복수극이 이어지기 위해 죽었던 사형수를 살려내는 판타지적 요소가 끼어든다. 온전한 시체가 있다면 단 일주인 간 되살려낼 수 있는 주술이 가능하다는 전제를 인정하고 시리즈물을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 진입장벽을 뛰어넘어, 즉 이 전제를 인정하고 시리즈를 지켜본다면 이 일주인간의 환생이라는 제약이 극의 전개에 긴장감을 더하고, 반전에 반전을 기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극의 재미는 배가 된다. 


<회혼계>의 재미는 사건의 반전이 이어진다는 점과 함께 인간의 심리를 교묘하게 다루고 있다는 부분에 있다. 보이스피싱 범죄에 엮이게 된 소녀들은 자신의 부모 또는 경찰들이 자신의 소식이 알려지면 분명 찾아와 사건을 해결하고 자신들을 꺼내 줄 것이라는 희망을 품는다. 하지만 범죄집단은 이들이 찍은 영상을 부모에게 또는 외부에 보내는 것처럼 속여 놓고,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는다는, 즉 자신들이 버려졌다는 절망감을 안긴다. 여기에 더해 피싱범죄의 목표치를 정해 이를 달성하면 내보내주겠다는 희망을 전하며, 실제 목표달성을 한 소녀들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지켜보게 만든다. 물론 이것도 모두 가짜다. 소녀들을 힘들게 만드는 것은 육체적 고문뿐만이 아니라 이런 희망고문이다. 


여기에 더해 소녀들이 범죄조직으로부터 탈출을 시도하지만 결국 실패하는 사건이 벌어지는데, 이 실패의 원인을 서로에 대한 의심으로 만듬으로써 심리적 고통을 더욱 가한다. 친구들 간의 이 불신은 다시 이들 부모가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의 믿음이 흔들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극을 더욱 긴장 속으로 몰아간다. 


<회혼계>에서는 이들 범죄조직은 다시 이교도 집단과 맞물려 있고, 이교도 집단은 권력층과 엮이며, 사회 곳곳에 깊숙이 퍼져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범죄집단의 견고함과 일상성이 얼마나 우리에게 위협적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범죄조직의 실체와 반전으로 이루어진 사건의 전개, 등장인물들의 흔들리는 심리 <회혼계>를 놓치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다만 마지막의 반전은 조금 과하다는 아쉬움이 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