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하루살이
  • 지리로 다시 읽는 자본주의 세계사
  • 이동민
  • 17,550원 (10%970)
  • 2025-01-10
  • : 3,896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세계가 뒤숭숭하다. 트럼프는 관세정책을 통해 글로벌 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경제적 주도권을 되찾으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이번 관세 정책은 중국을 제일의 목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미국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생산과 공급 기지로서의 위치를 다지기 위한 정책으로도 보여진다. 이로 인해 세계는 다자주의에서 양자주의로의 변화가 읽혀지며, 자국의 이익을 지켜내기 위한 여러 경제 블록이 새롭게 나타날 수도 있을 터이다. 그런데 이 모든 변화를 지정학적 접근을 통해 바라보면 어떻게 읽혀질까.  


이책 <지리로 다시 읽는 자본주의 세계사>는 지정학적 관점에서 자본주의의 태동과 발전을 다루고 있다. 지리적 특성이 경제, 문화, 정치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색다른 재미를 준다. 평소 유심히 보지 않았던 산맥과 강, 바다가 어떻게 각 국의 정치, 경제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돌아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프랑스와 독일, 영국의 지리적 특성이 유럽에서의 역할을 좌우하고,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각국의 위치와 인도양, 태평양의 접근성이 그들의 역사에 끼친 영향, 태평양과 대서양을 아우르는 대륙을 갖춘 미국의 힘, 육로와 해로를 통해(일대일로) 무역의 지평을 넓히려는 중국의 구상 등등.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경제적 흐름을 지정학적으로 간략히 살펴볼 수 있는 것이 <지리로 다시 읽는 자본주의 세계사>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우리의 경우엔 토건주의와 맞물린 현대 경제사의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지리와 다중스케일적 접근을 통해 현재 벌어지고 있는 세계 경제의 흐름과 앞으로의 변화를 읽어보는 눈을 키울 수 있다면 좋겠다. 물론 이 책이 그런 눈을 키워주지는 못할 것이다. 다만 그런 눈이 세계 경제사를 읽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깨달음과 관심을 갖게 한다는 점만으로도 의의가 있다 하겠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