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하루살이
  • 작별하지 않는다
  • 한강
  • 15,120원 (10%840)
  • 2021-09-09
  • : 637,347

<채식주의자>에 이어 두 번째로 읽는 한강의 소설이다. 

그의 소설은 머릿속에 영상을 명확하게 떠올리게 할 만큼 묘사가 상세하다. 영화 봉준호 감독의 별명이 '봉테일'인 것처럼, 디테일을 하나도 놓치지 않는다. 


<작별하지 않는다>는 광복 이후 제주 4.3을 비롯해 여순사건, 6.25 전후로까지 이어진 서북청년단을 비롯한 국가와 집단의 폭력으로 인해 목숨을 잃은 사람들을 그리고 있다. 지금 이 글을 쓰면서 제주 4.3의 뒤에 어떤 글자를 붙여야 할 지 망설이고 있다. '사건' '사태' '항쟁'.... 4.3을 바라보는 시선에 따라 달리 불리워질 것이다. 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다 하더라도 민간인이 집단으로 학살되어졌다는 사실만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는 그렇게 희생된 민간인 한 가족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죽었을지 살았을지 모를 가족을 찾기 위한 애달픔과 슬픔이 디테일 속에 녹아 있다. 


개인적으로 <작별하지 않는다>를 읽으며 가장 인상 깊게 느껴진 부분은 떨어진 눈이 살아있는 것에 닿으면 녹고, 죽어있는 것에 닿으면 쌓인다는 이미지다. 살아 있는 것들은 온기를 품는다. 죽은 것들은 냉기를 발산한다. 온기를 품은 것들은 부드럽고, 냉기를 품은 것들은 딱딱하다. 광기와 폭력은 살아있는 것들의 온기를 빼앗는 일이다. 제주 4.3을 비롯해 집단의 폭력으로 목숨을 잃은 이들의 위로 내린 눈은 녹지 않고 차곡차곡 쌓여간다. 쌓인 눈은 우리와 그들을 가로 막아 이별을 선언한다. 그렇기에 우리는 여전히 따스한 온정으로 그들을 바라보아야 한다. 우리와 그들을 갈라서게 만든 눈을 온기로 녹여야 한다. 다시는 이 아픔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그들과 작별해서는 안된다.  


<작별하지 않는다> 소설 속 경아와 인선이 주고받는 촛불은 따스함이요, 어둠을 밝히는 빛이다. 촛불은 살아있음을 증명한다. 현재의 우리에게도.(지금은 쉽사리 꺼지지 않는 응원봉의 모습으로)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