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좋아하세요?> 출간되고 1주일이 지났네요.
부산에서 북 콘서트하고, 축하 술자리 하고, 몇 몇 분께 인사하다 보니 일상의 흐름이 깨져버렷습니다.
이번 주는 정신을 가다듬고...
그러나
후배가 휴가를 가버리는 바람에
손발이 무척 바쁜 한 주가 될 듯 합니다.
압구정에 있는 클래식 플랫폼 <풍월당>에는 이렇게 전시가 되어 있네요.
클래식 음악 들으시는 분들께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제게는 이중적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공간이지만 실장님과는 부산에서 부터 좋은 인연이 있어서 이렇게 신경 써주셨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08/pimg_7778821832378352.jpg)
출판사 대표님이 참치 횟집에서 인증샷. 횟집 매장에 이렇게 디스플레이 가능하다는 놀라운 범용성과 적응력에 감동.
음악이 다 그렇지 않을까요? 세상의 모든 음악은 모든 필요와 쓸모와 감동이 있으니까.
어느 하나를 더 높이 칠 필요도 없어요. (동세대 트로트의 여왕은 주현미와 김연자라고 생각합니다. <미쓰트롯>이후 송가인의 기세가 장난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주현미님과 김연자님이 최고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08/pimg_7778821832378354.jpg)
책 내부를 펼쳐 보면 이런 구성입니다.
테오 앙겔로풀로스의 영화 <황새의 멈춰진 발걸음>의 음악과 몇 년 전 세계를 울린'해변의 쿠르디' 사진, 그리고 <무정한 빛>(수잔 린필드, 바다출판사) 에 언급되는 사진의 윤리성에 대한 이야기 등이 엮였군요.
영화 속에는 ‘연(鳶)의 우화’가 나온다. 세계의 멸망 이후 대지를 떠날 수 있는 연줄에 사람들이 몸을 싣는 것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카라인드루의 ‘난민의 테마’가 반복된다. 국경 근처 일꾼 여러 명이 전신주에 오른다. 마치 하늘로 날려 올린 연줄을 타고 오르는 것 같다. 하지만 전신주는 땅과 하늘의 중간 지점에서 멈출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갈 수 없다. 중음(中陰)의 공간에서 시간이 그렇게 멈춘다. 난민들의 시간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9/1208/pimg_777882183237835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