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안티고네
  • 우리말이 국어가 되기까지
  • 최경봉 외
  • 19,800원 (10%1,100)
  • 2023-04-19
  • : 266

국어학자 김민수(1926-2018)는 어린 시절의 경험을 회고하면서, 일본제국의 식민지 정책이 애초부터 완전동화를 계획한 것으로 본다. 다시 말해 ‘조선 민족을 그냥 육체만 남기고 완전히 소멸시키자’라는 정책이라는 것이다. 그는 50년 6개월 동안(1895년 4월 7일부터 1945년 10월 25일까지) 일본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타이완과 비교하면서 조선의 식민지 기간이 35년이라는 게 정말 다행한 일이라고 가슴을 쓸어내린다.


김민수는 일제 말기 타이완 주민의 일본어 해득률이 85%에 달했으며 이는 대단한 거라고 말한다. 나머지 15%는 오지에 사는 노동자나 농민이니, 일반인들은 대부분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는 개인적인 경험을 들려준다. 1964년에 하버드 대학에 초청받아서 갔는데, 그때 마침 초청받은 타이완 학자와 함께 지내게 되었다. 그런데 이 타이완 학자가 아내에게 편지를 쓸 때 일본어를 사용하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물어봤더니 집에서도 부부 사이에 일본어를 쓴다고 했다.


타이완은 조선보다 15년 먼저 일제의 식민지가 되었다. 식민지 시기에 타이완의 일본어 해득자는 1932년(식민 지배 37년)에 22%, 1937년에 37%(식민 지배 42년)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1943년(식민 지배 48년)에는 62%로 갑자기 치솟았다. 한편 조선의 일본어 해득률은 1932년(식민 지배 22년)에 7%, 1937년(식민 지배 27년)에 11%로 늘어나다가, 1943년(식민 지배 33년)에는 22%로 두 배가량 껑충 뛰었다. 식민지 말기로 갈수록 일본어 해득자가 가파르게 늘어났다. 35년 아닌 50년 식민 지배를 당했다면 한국도 타이완과 같은 처지로 전락했을 것이다.


김민수는 해방이 20년만 늦었어도 조선의 일본어 해득률이 90%에 육박했으리라고 전망한다. 그러면 광복이 돼도 국어의 회복은 어려웠으리라고 판단한다. 식민지 시대에 일본어가 일상 언어가 되는 건 시간문제였다. 지식인이나 상류층부터 먼저 일본어로 생활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결국은 모두가 일본어로 말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한 가지 고백한다. 9살(1935년) 되던 해 소학교에 들어가 일본말로 교육받고 작문도 늘 일본말로 썼다. 그는 광복 후 성인이 된 다음 국어학자로 활동하면서도 어떤 때는 일본말로 사고를 한다고 했다. 그래서 글을 쓸 때마다 머릿속에서 일본어를 우리말로 번역하려고 어휘를 찾는다는 것이다. 일본어로는 문장이 떠올랐는데 우리말 어휘를 찾지 못해서 일한사전(日韓辭典)을 찾을 때도 있다. 어린 나이에 배운 언어가 정신을 지배하는 것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