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는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대출과 예금의 조건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지표이다. 각 은행에서 마음대로 금리를 조정하지 못 하도록 각 나라의 중앙은행에서는 '기준금리'를 지정한다. 한국의 경우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여 다른 금융시관이 대출금리나 예금금리를 책정하는 기준점을 제시한다.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정하는 이유는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저지하면서, 일정한 경제성장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금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경제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국가는 경기 과열이나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수시로 조정한다. 금리 조정은 채권, 주식, 부동산 같은 투자 자산에 영향을 주는데, 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은 하락하고 기업의 차입비용 늘어나 기업 실적이 나빠져 주식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안정적인 노후를 위하여 재테크를 적극적으로 하지만 금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주택 구매 시 금리를 활용한 헤지 전략을 사용하지 못하여 이자를 남들보다 더 내거나 금리 상승 시 장기 국채를 구매하여 손해를 볼 수도 있다.
'모두의 금리'는 변동하는 금리 속에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고 안전마진 확보를 하는데 큰 도움을 주는 도서이다. 금리 변동이 투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친절하게 설명해주기 때문에 자산의 위험도나 수익률 계산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다수의 사람이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외칠 때, 모두의 금리는 철저한 계산으로 이루어진 로우리스크 세이프리턴을 외치고 있다. 리스크가 적다는 것이 투자대비 이익이 적다는 것이 아니다. 최소한의 안전지대를 마련해두고 나서 하이리턴을 위한 계산을 하는 것이 모두의 금리에서 말하는 투자라고 생각한다. 교과서와 같은 책이라서 여러 번 읽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