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Mitakuye Oyasin
  • 이코노미스트 2025 세계대전망
  • 영국 이코노미스트
  • 20,700원 (10%1,150)
  • 2024-12-10
  • : 14,720

2025년 세계 경제에 가장 임팩트가 될 사건 2가지를 선택해보자면 AI와 트럼프 2기 행정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코노미스트에서도 트럼프의 대선 공약 중 실제로 현실 가능한 내용이 세계 경제와 정치에 미칠 영향을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미국의 에너지 생산과 전기차 보조금 행정명령 폐지 같은 경우 전기차 생산과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영향을 주어 한국은 물론 전세계에 있는 배터리 제조 업체에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이 된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대통령 취임(예정대로라면 2025년 1월 20일) 후 24시간 이내 러시아-우크라니아 전쟁을 종결시키겠다고 공언하였다. 실제로 취임 후 24시간 이내 전쟁 종결은 말이 안 될수도 있지만 2025년 내 최소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날 가능성은 높아보이고, 남중국해의 갈등이 다시 표면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미국-중국과의 관계에서 단순히 미국에 의한 중국의 경제 제재(과세, 반도체 칩 수출 금지 등) 뿐만 아니라 중국의 남중국해 침범에 대한 미국의 개입 또한 글로벌 정치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국의 조선 업계는 인력난과 탈산업화의 영향으로 미국 내 조선소에서 자체 군함 건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은 조선업 강국으로, 특히 고급 군함과 대형 상업용 선박 건조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한화는 1997년 미 해군 필라델피아 국영 조선소 부지에 설립된 필리조선소를 인수하였고, 현대중공업은 미국 해군 선박의 유지보수를 한국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을 체결하였다. 한국의 조선 관련주가 상승세를 보이고, 조선업 ETF인 SOL 조선 TOP3 플러스가 2024년 초 이후 59.73% 수익률을 이유 중 하나가 중국의 남중국해에 대한 미국의 개입 때문인 것이다.

AI는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정치와 경제는 물론 문화를 비롯한 전세계의 모든 영역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그 영향이 긍정적인 부분도 존재하지만 부정적인 부분도 물론 존재한다. AI의 부정적인 부분이라면 역시 딥페이크와 저작권 침해이다. 영화나 드라마 촬영 도중 주연 배우의 갑작스러운 사고로 출연진이 교체 될 때 AI를 활용한 딥페이크 기술은 재촬영에 필요한 제작비를 감축시킬 수 있지만, 이런 긍정적인 부분이 아닌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가짜 뉴스 제작으로 사회적 신뢰를 저하시키거나 리벤지 포르노 영상에 피해자의 얼굴을 합성하는 범죄 도구로 더 많이 사용된다. AI 기술로 인해 다른 나라에서 제작된 영화, 문학 등의 작품을 불법적으로 복제하여 문화산업에 타격을 주기도 한다. 2023년에는 SAG-AFTRA(Screen Actors Guild‐American Federation of Telvision and Radio Artists, 배우 조합)와 WGA(Writers Guild of America, 작가 조합)의 회원이 참여하여 헐리우드에서 대규모 파업을 벌인 일도 있었다. 배우 조합인 SAG-AFTRA에서는 배우의 얼굴과 목소리를 AI로 복제할 수 있는 권리에 반대하는 파업을 하였고, WGA에서는 AI가 기존의 작품을 학습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이 창작권을 침해한다는 내용으로 파업을 하였다. AI의 윤리적이고 공정한 사용에 대한 내용을 앞으로도 꾸준히 이슈가 될 것 같다. 문제는 AI는 점점 더 발전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되어 사용될 예정이라는 것이다. AI 발전에 영향을 주는 반도체 칩 개발과 제조는 국가경쟁력에 큰 영향을 줄 것이며, 데이터센터 건립과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전력 공급망에 대한 내용이 기사화될 것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