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내서재
  • 돈의 탄생
  • 먀오옌보
  • 19,800원 (10%1,100)
  • 2021-02-28
  • : 158

이 책은 화폐의 탄생부터 시작하여 최근에 이르기까지의 돈의 역사와 여러 변천 과정을 다루는데 상당한 양을 할애하고 있다. 지금까지 봐 온 역사책에서는 정치·사회·경제·문화적 역사의 흐름과 특성을 알 수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화폐라는 특정 주제를 기준으로 역사의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

1장 기원부터 8장 성패까지 방대한 분량의 내용을 읽어가면서 내가 계속 떠올린 단어는 ‘화폐 패권’이었다. 특히 전 세계에서 막강한 위치를 차지하는 미국과 달러가 가지는 힘은 다른 나라의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을 수도 있는 패권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미국이 가장 강력한 정치와 경제 실체 그리고 군사력을 가지고 있어 강력한 달러 패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 달러는 기축통화로서 전 세계의 무역과 금융 시장에서 자국에 유리하도록 제도를 제정할 수 있으며 저자가 책에서 소개한 중국 명·청 시대의 백은 패권, 대영제국의 파운드 패권은 미국 패권의 수준을 따라가지 못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제1·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이 때 달러의 국제화 과정이 이루어짐. 책 405~423쪽에서 다루는 화폐의 국제화 내용 참조) 미국이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달러도 강세를 키워나갔고 미국이 가진 국제 화폐 발행권 덕분에 미국에서 발생한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도 계속 막강한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저자는 달러 패권이 단시간 내에 사라지지는 않더라도 영원히 그 패권을 유지하지는 않을 거라고 보고 있다. 그리고 금이 화폐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1978년 4월에 IMF가 비준해 통과시킨 <국제통화기금협정>을 통해 유통화폐로서 기능을 상실) 부의 비축수단으로서, 여러 파생 상품으로 존재하는 등 현재에도 그 생명력은 남아 있다.

화폐의 역사 중에서 특히 흥미롭게 본 부분은 미국연방준비제도의 탄생을 다룬 것이다. 공개시장 조작과 법정 최저 예금 준비금 기준을 조정하는 기능을 하는 연준이 어떤 과정을 거쳐 생겼는지 알 수 있었고 달러가 국제 패권 통화로 되기까지 연준이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에서 저자는 향후 세계 통화의 모습이

-달러,유로,파운드,엔,위안화 등의 통용 화폐와 금과 은 보유량을 본위로 하는 새로운 세계 단일 통화의 형태

-비트코인과 같은 전자화폐와 디지털화폐

가 기본이 될 가능성을 말하면서 금과 은이 세계 통화의 중심축인 한 향후에도 금은은 사라지지 않을 거라고 말한다.

경제사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면 더 빨리 이해할 수 있기는 하지만 화폐의 흐름과 변화를 다양한 국가의 역사를 통해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

- 출판사 서평 이벤트로 책을 제공받고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