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大成할 男子
  • 책만 보는 바보
  • 안소영
  • 16,200원 (10%900)
  • 2005-11-04
  • : 27,736
조선시대 이덕무에 대한 이야기다.

어려운 가정환경에서 태어났지만 책읽기를 게을리하지 않았고,

그의 벗 발해고를 쓴 유득공, 박제가. 이서구 등과 함께 배움을 위해,

연암 박지원과 담헌 홍대용을 찾아가곤 했다.

그들의 책사랑...!!

 

제가 메모한 어구는

 

나는 온종일 그 방 안에서 아침, 점심, 저녁으로 상을 옮겨 가며 책을 보았다.

동쪽 창으로 들어온 햇살이 어느새 고개를 돌려 벽을 향하면,

펼쳐 놓은 책장에는 설핏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

그것도 알아채지 못하고 책 속에 빠져있다가,

갑자기 깨닫게 되면 얼른 남쪽 창가로 책상을 옮겨 놓았다.

 

무엇보다 한스러운 것은 내 처지를 자자손손 대대로 물려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아, 도무지 앞이 보이지 않았다.

나는 애써 소리 내어 책을 읽고 또 읽었다.

 

나는 또한 그림을 보듯 책을 본다.

아무도 가 보지 않은 울창한 숲을 책은 나에게 보여준다.

그 숲으로 한 발 내디뎌 본다.

높이 뻗은 아름드리나무들은 하늘마저 조각내 새롭게 보이게 하고,

채 마르지 않은 아침 이슬을 내 무릎을 적신다.

하얀 눈으로 뒤덮인 겨울날,

그 숲에는 발자국 몇 개가 드문드문 찍혀 있다.

나처럼 책 속을 다녀간 사람들의 발자국이다.

 

문(文)과 무(武)는,

수레의 두 바퀴처럼,

새의 두 날개처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입니다.

 

정말 요즘은 날씨가 좋음에도 불구하고 하루종일 책만 읽고 싶네요..^^

조선시대의 이덕무는 지금 힘든상황에서 가문을 일으키기 위해 노력을 하는

젊은이들과 다를 바가 없어보였습니다.

"애써 책을 읽고 또 읽었다"는 대목에서 힘을 많이 얻었습니다.

 

그리고 문과 무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정말 가장 중요한것은 건강입니다.

책읽는 와중에도 틈틈히 운동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는것도 다시 한번 새겼습니다.

이 책의 또 하나의 수확은 1800년대의 조선시대가 그리 멀게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에도 현재 젊은이들과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었고

특히 유득공은 중국에 갔을 때 옛 발해의 땅을 보고,

지금 조선이 다시 가져올 수 없다는 것을 아쉬워했다고 합니다.

 

 

+

 

 

책만 보는 바보가 되고 싶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