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인간의 죽음에 대한 사유는 설왕설래하는 수준을 넘어 이제는 논쟁의 종지부를 찍을 수준에 다다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하지만 죽음은 늘상 우리 곁에 존재하는 현실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살아 있음을 강하게 느끼는 나, 우리지만 동전의 반대면과 같은 죽음의 존재를 인식하며 사는 일은 그리 쉽지 않음을 우리는 느껴야만 한다.
죽음, 살해, 자살, 안락사, 낙태에 이르기 까지 우리의 일상적 삶에서 마주하는 죽음들은 그야말로 일상적이라는 보편성을 갖고 있다.
죽음이 특별하게 치부되야 하는 존재라기 보다 삶과의 대척점에 존재하는 대상쯤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인식의 재고가 필요한 시점이라 해도 틀리지 않을것 같다.
다양한 죽음이 존재하며 그 죽음에 대한 합리성과 도덕성에 대한 의문을 파고들어 우리에게 죽음이 갖는 이성적 사유에 대한 깨달음을 전해 주고자 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죽음을 철학하다" 는 인간 존재가 가진 삶과 죽음에 대해 존재와 소멸에 대해 나름대로 사유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책이다.
물론 저자의 이야기 속에 전해지는 맥락에 따라 우리의 의식과 인지는 달라질 수도 있고 반박의 여지도 생길 수 있다.
저자가 말하는 '우리는 필멸의 존재이기에 죽음을 이해할 수록 삶을 마주하는데 용기를 낼 수 있다'고 하는 말을 통해 삶에 대한 애착을 역설적으로 이끌어 낼 수도 있다.
존재의 삶과 죽음이 던지는 화두는 우리 인생에 있어 무척이나 중요한 화두가 아닐 수 없다.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의 역설적, 궤변적 사유가 아니라도 죽음에 대한 나, 우리의 생각은 삶에 대한 인간의 다양성, 다양한 의미를 읽어낼 수 있는 것 보다 월등히 단조롭고 한계적이라 할 수 있다.
에피쿠로스의 논증이 우리에게 마음의 평온을 갖게 하는 위안이 되는지는 사실 잘 모르겠다.
“죽음은 사실 우리에게 아무것도 아닐세. 우리 자신이 존재하는 한 죽음은 우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네. 죽음이 우리를 찾아왔을 때 우리는 이미 사라지고 없지. 따라서 우리가 살아있든 죽었든 간에 죽음은 우리와 무관하네. 살아있을 때는 죽음이 없고 죽었을 때는 우리가 없기 때문일세.”
이와 같은 논증은 일견 죽음에 대한 나, 우리의 의식을 죽음과 무관한 대상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삶을 살며 죽음을 말하는 자체가 어불성설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말하지 못한다는 것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다.
철학적 사유를 일으키는 죽음과 삶의 조화는 우리가 일생을 살며 마주해야 하는 사유이자 철학이 될 수 있다.
아직은, 이라는 말로 우리는 삶 조차도 버거운데 죽음이라는 무겁고 두려운 존재에 대해 생각하기를 꺼려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언제까지고 우리의 삶에만 치우친 사유를 고집할 수는 없다.
삶과 죽음은 일란성 쌍둥이와 같은 모습으로 우리가 껴 입은 옷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 속에서 마주하는 수 많은 죽음의 현장, 그 속에서 우리가 느끼는 죽음에 대한 직시는 죽음을 철학하는 나, 우리에게 삶을 더욱 이해하고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용기를 주는 기회로 전환될 수 있다.
삶의 끝에서 마주하는 것이 죽음이 아닌 삶이라는 생각, 유한한 삶이 죽음으로 끝맺음 되는 미완성이 아니라 삶의 끝을 완성할 수 있는 삶이라는 완성형 의미와 가치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있어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고 하겠다.
한 권으로 끝내는 삶과 죽음의 모든 것들을 통찰해 내는 죽음에 대한 철학, 읽고나면 삶도, 죽음도 동일한 연장선상에 있음을 느끼고 이해하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전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