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newkorea21님의 서재
  • 마쓰다 도키코와 조선
  • 김정훈
  • 17,100원 (10%950)
  • 2024-05-29
  • : 105



시대를 초월한 인물로 회자되는 많은 존재들이 있지만 우리의 입장으로서는 일본인에 대해 갖는 감정이 남다르기에 일본인이면서도 한중일 3국의 시민들에게 저항적 인물로 기억되는 일은 그에 대한 평가를 새롭게 가져야 하며 대중적 평가에 있어서도 더욱 활발한 전개가 이루어 져야 함을 인식하게 된다.

1930년대 일제강점기 떄는 한국, 중국인들을 강제 연행해 탄광에서 노예적인 삶을 살아야 했던 탄광 노동자들의 삶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한 과정은 그들의 생존권과 결부된 노동 현장으로 인간노동자로의 존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드어낸다.

우리가 아는 일본과 일본인은 그러한 과정에 있어 참여하고 강제하는 모습을 보이면 보였지 결코 인간성의 회복과 노동의 존엄권에 대해 말하는 이들은 없었다고 보여지지만 쉽게 찾을 수 없었던 사례로의 마쓰다 도키코는 인간 존엄을 위한 실천적 투쟁으로의 저항을 자신의 글쓰기, 문학적 목표로 삼아 활동했고 그 결과물들은 오늘 우리가 마주하는 저항적이고 인간의 실존적인 존엄에 다다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마쓰다 도키코와 조선은 그러한 그녀의 삶과 문학적 서사를 통해 괄목할만한 역사적 성과로의 내용을 독자들에게 전한다.



이 책 "마쓰다 도키코와 조선" 은 마쓰다 도키코 사후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출판된 도서지만 그녀의 생애와 문학활동에 대한 평론적 성격을 띤 책으로 한,중,일 3국의 시민들이 일체가 되고 전후사에 획을 긋는 인민의 투쟁에 대한 기록임을 밝히는 책이다.

마쓰다 도키코는 1905년 출생, 99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했지만 일본 인권운동에 몸바쳐 투신한 인물로 일제강점기 조선인에 대한 차별대우와 강제징용, 중국인 학살 사건 등을 인도주의적인 의식으로 세상에 알린 인물로 기억할 수 있다.

하나오카는 일본 동부지역에 존재하는 광산의 이름으로 태평양 전쟁에 투입하는 전쟁물자 생산에 조선인과 중국인이 내몰리며 기아와 중노동에 시달린 참극의 발생이 일본인 뿐만이 아니라 한국인과 중국인에게는 전시체제의 강화로 이루어진 실체이자 희생자들이었음을 깨닫게 한다.

그녀는 광산노동자들이 왜 빈곤의 악순환과 끊임없는 노역에서 벗어날 수 없는가 하는 의문을 그들의 일상을 통해 파악하고 고전관념에서 벗어나 노동자의 자유를 억압하고 학대하는 것에 대해 무의식적인 저항성을 갖추었던 인물이라 생각할 수 있다.

태평양전쟁에 대한 일본의 바램은 오롯이 세계 지배를 위한 일본의 욕망과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잔인한 현실의 억압에 대한 문제가 실질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인간적인 부분을 말살하고 노예적인 삶을 강요한 일본의 일그러진 모습을 세상에 고하는 결코 쉽지 않은 일임을 인정하기에 그녀 마쓰다 도키코의 저항적 문학은 오늘 우리가 생각하는 일본인에 대한 고정관념적 의식을 넘어 선 탁월한 인본주의적 관념으로 이데올로기를 벗어나 휴머니즘에 천착한 인물로 기억되어 마땅하다 생각하게 된다.

일본인 작가가 당시의 실상을 목도하고 조선인을 그리는 자체는 실질적으로 예사로운 일은 아니다.

마쓰다 도키코 같이 자기 정체성과 시대를 초월하는 휴머니즘적 의식을 갖지 않고는 행진도에서 볼 수 있었던 모습처럼 독특한 작품을 그릴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녀는 행진도에서 남성 보다는 조선인 여성들에게 주체적인 의식과 세계관, 아이덴티티를 강조했으며 조선인 판자촌의 구성원이자 공동체의식을 일깨우고자 하는 모습을 담아 내기도 했다.



저자는 마쓰다 도키코가 천성적으로 권력에 맞서는 저항정신과 휴머니즘적 성품을 가지고 있었다고 진단한다.

그런 그녀가 국경과 신분을 초월한 저항적 노동 연대기를 이끌어 낼 수 있었던 이면에는 성장 과정에서 몸에 밴 노동자에 대한 독특한 배려의 마음이 존재했음을 깨닫게 한다.

그녀 마쓰다 도키코와 함께 한 김일수는 연대활동의 세력이자 휴머니즘의 시발점으로 오늘의 나, 우리에게 전하는 시사점이 결코 적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어쩌면 마쓰다 도키코는 초월적 의식을 가진 존재로 삶을 살아간 인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하게 된다.

국경을 초월하고 신분을 초월해 인간적인 휴머니즘에 천착하고자 했던 그녀의 삶에 대한 조명은 더욱 많은 대중들의 시선과 의식속에 살아 남아야 하겠다는 생각을 전해 본다.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