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순한맛 → 입문자 추천 | 밝고 부드러운 | 편안한 감성 | 대중적인 취향
🔹 예) 인상주의, 색면추상, 아르누보, 이머시브
🖼️ 특징: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고 보고나서 "와 잘 봤다!" 만족감이 남는다
② 진한맛 → 상급자 코스 | 예술계에서 주목하는 | 난해하고 거친 감성 | 매니아 취향
🔹 예) 현대미술, 행위예술, 개념미술, 일부 영상작품
🖼️ 특징: 한 번 보고 이해하기 어려운 작품이 많음
"이게 왜 예술이지?"라는 의문에서 출발해 책과 설명을 찾아 읽으며 깊이 파고들수록 재밌어진다.
예술의 본질이나 형식을 탐구함
③ 매운맛 → 강렬한 표현 | 도전적인 | 불편한 감성 | 사회고발적 사회참여적 | 논쟁적
🔹 예) 젠더문제, 이주노동문제, 민중예술
🖼️ 특징: 사회적 메시지를 강하게 던지는 작품이 많음
"나는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지?" 보는 사람에게 질문을 던지고 의도적으로 낯설게 보게함
작품을 통해 숨겨져 있는 문제를 직면하게 하고 불편함을 유도함
④ 씁쓸한맛 → 감성적이지만 우울함 | 철학적이고 서정적인 | 내면 탐구
🔹 예) 독일 표현주의,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프란시스 베이컨, 에곤 실레, 뭉크, 달리, 마그리트
🖼️ 특징:
감각적으로 아름답지만 쓸쓸하고 무거운 작품이 많음
인간의 내면을 탐구. 삶과 죽음. 고독과 불안. 트라우마.
관람후 한동안 여운이 남고 관객의 감정 상태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도 있음.
⑤ 단짠맛 → 익숙하지만 새로운 | 유머와 풍자 | 키치적 감성
🔹 예) 팝아트, 네오팝, 슈퍼플랫, 스트리트아트, 뱅크시, 무라카미 다카시, 제프 쿤스
🖼️ 특징:
밝고 유쾌해 보이지만, 작품 속에는 풍자적인 메시지가 숨어 있음
대중문화 상업이미지 광고를 활용해 현대 사회를 풍자
"귀엽네?" 하고 웃다가 다시 보면 "뭔가 날 놀리는 것 같아…" 하는 느낌이 들 수도?!
⑥ 구수한 맛 → 신토불이 | 전통 | 농촌적이고 따뜻한 정서 | 한국적인 미감
🔹 예) 민화, 문인화, 불화, 단청, 조각보, 백자, 분청사기, 전통 공예, 김홍도, 신윤복, 정선, 박생광, 이응노 등등등
🖼️ 특징:
한국의 전통 미감, 투박하고 담백하고 단아함(박생광 제외)
보고 있으면 정겨운 느낌. 한옥에서 차 한 잔 마시는 듯한 편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