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장
동기 부여가 가장 중요함.
자기결정이론은 사람의 선택과 그 선택의 이유에 주목함. 외재적 동기냐 내재적 동기냐.
동기부여의 비결
-학생들에게 학습 방식 선택하도록
-현실성을 희망적으로 알려줘야(예. 프로농구선수길)
-실패 덕분에 배우고 현재 수준을 뛰어넘도록 의식적 반복과 연습
-열정적 끈기로 장기 목표 성취하도록 지지
교육이란 들통을 채우는 일이 아니라불을 지피는 일이다.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티퍼니를 보면서, 아이를 가르치는 건 아이가 타고난 재능, 관심사,
열정을 찾아내도록 돕는 것이어야 한다는 믿음이 더 강해졌다. 거의모든 아이가 이른바 최적 지점을 가지고 있음을 나는 여러 해 동안 지켜봤다
5장.
더 이상 그저 학습할 내용을 나눠주고 의미 없는 사실을암기하게 해서는 안 된다. 아이들이 새로 알게 된 사실과 비판적이고창의적인 사고능력을 결합해서 궁극적으로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이해하고 만들어내도록 가르쳐야 한다. 어쩌면 나만 그런지 모르지만,
이 한 문장이 교육의 목적을 꽤 잘 표현하는 것 같다.
개별화 교육과 협동학습..
학습 유형과 다중지능, 이미 알고 있는 것과의 관련성으로 학습하기
6장.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학습공간의 조합
마르코가 다비드에게 직접 가르쳐주기도 하고(모닥불형), 다비드가 그곳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며 배우기도 하고(물웅덩이형),
때로는 다비드 혼자 스튜디오 한구석에서 뭔가를 하기도 했다(동굴형). 다비드가 그곳에 있을 때 얼마나 신이 나 있는지 알고서 마르코는 짜릿함을 느꼈다. 다비드는 악기 연주를 녹음했을 뿐만 아니라 온갖수준의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7장.
교육은 리얼리티가 필요함.
현재 교육은 대본이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비슷하다. 학생은 배우 역할을 한다(그리고 실제 배우와 마찬가지로 열심히 애쓰다가 소진된다). 교사는 작가(교육 정책 입안자)가 만들고 프로듀서(정치가와 행정가)가 승인한아주 엄격히 정해진 대본(교과서)대로 배우들을 이끄는 책임을 맡은감독이다.
현재 교육에 필요한 건 약간의 리얼리티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에는 ‘배우‘가 없고 실제 인물, 다시 말해 실제 배경, 동기, 재능을 가진 개인이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