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평균주의 뒤엎기
몰레나-‘에르고딕 스위치’ 그룹 평균을 이용해 개개인에 대한 예측치 도출한다는 에르고딕 이론에서 중요한 조건 두가지. 그룹의 모든 구성원이 동일하고, 미래에도 그렇다는 것. 근데 이것을 인간 그룹에도 적용함.
이런 평균주의의 오류를 짚어내고 대안 찾기 시작함.
평균의 시대를 특징짓는 2가지 가정은 무엇인가? 평균이 이상적인 것이며 개개인은 오류라는 케틀레의 신념과 한 가지 일에 탁월한 사람은 대다수의 일에서 탁월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골턴의 신념이다. 그러면 이번엔 개개인의 과학이 내세우는 주된 가정은 뭘까?
개개인성이 중요하다는 신념이다.- P107
몰레나와 동료 연구원들은 개개인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른바 역동적 시스템dynamic system이라는 사뭇 다른 차원의 수학,
다시 말해 가변적이고 비선형적이며 역동적인 값의 수학으로 관심을 돌려야 한다고 강조한다.- P108
평균주의는 종합 후 분석
개개인의 과학은 분석 후 종합
에스터 텔렌-아기의 보행반사와 통통한 허벅다리 연관성 개개인성 연구로 도전!
개개인 자료가 막대하게 필요할 뿐. 요즘은 데이터 시대라 금방 구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