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letterfjj님의 서재
  • 경연, 왕의 공부
  • 김태완
  • 19,800원 (10%1,100)
  • 2011-08-16
  • : 655

이 책을 읽으며 대학 학부생 시절, 조선 후기 공론(公論)정치에 관한 논문을 한 편 읽었던 기억이 떠올랐다. 단순히 왕과 고위관료 몇몇에 의해 국정이 좌우되는 것이 아닌 여론의 수렴을 도모하고자 했던 정치행태에 대한 글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논문에서 조참(朝參, 한 달에 네 번 중앙에 있는 문무백관이 정전에 모여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정사를 아뢰던 일), 상참(常參, 의정을 비롯한 중신과 시종관이 매일 편전에서 임금에게 정사를 아뢰던 일), 윤대(輪對, 백관이 차례로 임금에게 정치에 관한 의견을 아뢰던 일) 등 용어를 찾아보며 왕 노릇을 한다는 게 생각보다 훨씬 어려운 일이겠구나, 막연히 생각했었다.  

왕의 정치라는 건 두 방향에서 이뤄져야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널리 여론을 수렴하려는 노력이 우선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민본정치를 표방한 이상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야 할 테니.  

다른 한 편으로 실제 정치적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핵심 지배층의 부단한 자기개발과 노력, 공부가 중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은, 널리 여론을 수렴하고 거기에서 진정한 민심을 듣고 반영하는 것 자체가 결정권자의 역량에 달린 문제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것이 이 책에 다룬 왕이며 왕의 공부, 즉 경연인 것이다. 

율곡의 책문을 전공한 김태완 선생의 이 책은 조선시대에 행해진 경연의 개요, 왕의 일상 스케쥴과 경연, 실제 경연내용 등 말 그대로 경연에 대한 내용을 집대성했다. 조선시대 왕들과 당대의 석학들이 어떻게 함께 공부하고 토론했는지, 그 토론과정에서 어떤 정치철학, 실제의 문제가 오고갔는지 등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이 책은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 율곡 이이 등 당대 석학의 글을 바탕으로 경연과정을 실감나게 재현하고 있지만 장면 단위로 서술해 결코 어렵지 않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프롤로그를 읽으면서 다소 의외로 느낀 감이 없지 않았다. 책을 읽기 전에는 경연이라는 주제 자체에서 느껴지듯 철저히 '옛날 이야기'에만 집중했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저자의 현실정치에 대한 시선이 굉장히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본문도 마찬가지로 경연의 이야기 속에 저자의 문제의식을 곳곳에서 엿볼 수 있다. 이 점은 독자의 입장에 따라 다양한 평가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저자는 현재의 정치세태를 그만큼 불만족스럽게 보고 있는 것일까? 어찌 되었건 우리가 인문학을 배우고 역사를 공부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현실로 돌아온다면, 과거의 이야기 속에서 부단히 현재를 궁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할 것이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