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1
createmyth님의 서재

◐ 뭔가 규칙이 있다?
등호를 알게 되면서 이제는 완전한 수식 형태의 덧셈 문제를 풀 준비를 마쳤습니다. 이미 앞 단계에서 배운 ‘10 이하의 덧셈‘ 문제에 등호만 추가해 제시하면 돼요. 이때 세 개의 식을 하나의 세트로 만들어 주세요. 수가 덧셈 기호를 만났을 때 어떤 특징이 있는지 다시 확인해 봅니다.

4+4= | 1+4= | 3+2=
4+5= | 2+4= | 4+3=
4+6= | 3+4= | 5+4=

이 문제들을 풀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아이에게 던져서 아이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주세요. 유치원 때부터 단순히 계산하는 법을익히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처음 배울 때부터 덧셈 연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이의 생각을 넓혀 주세요.- P89
"(첫 번째 문제 세트를 푸는 아이에게) 앞의 수는 그대로인데, 뒤의 수가 1씩 커지네. 그럼 밑줄에 들어갈 수는 어떻게 달라질까?"
"(두 번째 문제 세트를 푸는 아이에게 뒤의 수는 그대로인데, 앞의 수가 1씩 커지고 있어! 밑줄에 들어갈 수가 어떻게 달라져?"
"(세 번째 문제 세트를 푸는 아이에게) 앞의 수랑 뒤의 수랑 똑같이 1이 커지네. 그럼 밑줄에 들어갈 수는 어떻게 변할까?

이 문제를 통해서 덧셈 수식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바로 덧셈 기호로 연결된 두 수가 커지면 커진 만큼 등호 오른쪽의 값이 커지고, 작아지면 작아진 만큼 등호 오른쪽의 값이 작아진다는 사실이지요.
심화를 진행할 때 이 원리를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나와요.
그런데 이 원리를 심화를 풀면서 이해하려고 들면 너무 어렵습니다. 이렇게 쉬운 문제를 통해서 반복적으로 덧셈의 중요한 특징을 학습해 나가면, 이후에 어려운 응용 심화를 풀 때 큰 도움이 돼요.- P90
◐ 재미있는 5개 만들기 놀이
독일에서는 ‘5‘라는 숫자를 연산에서 가장 먼저 배웁니다. 그 이유는 5를 기준으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 이후에 배우게 될 중요한 개념인 10진법을 더 쉽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서예요.- P52
◐ 손가락 계산 놀이
(중략)
"7+5의 답을 구할 때, 아이에게 손가락 7개를 펴게 하고 엄마는 손가락 5개를 펴세요. 그런 다음 펼친 손을 아이의 손 옆에 둡니다. (이때 묶어서 10을 만들 수 있도록 아이가 손가락 5개를 펼친 손 옆에 놓아 주세요.)그런 다음 세어보게 하세요.
아이는 자신의 손가락 5개와 엄마의 손가락 5개를 합치면 10개인걸 알고, 자연스레 남은 손가락 2개를 보며 쉽게 12라고 답해요. 저희 아이는 ‘마법 같다‘라는 표현을 쓰더라고요."
→ 나한텐 정말 유레카다 유레카. 이렇게 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는데 이걸 도와주지 못하고 뭐라 하기만
했으니.. 미안하다 미안해😭
이런 식으로 만질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해 자리 수가 넘어가는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면, 아이는 자신감을 가지고 문제를 대할 수 있어요.

- P99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