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을 졸업하고 중등 입학을 앞두고 있는 이 시점 가장 중요한 것이 무얼까?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생각하듯 국영수 교과목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예전에는 영어, 수학에 치중하는 분위기였다면, 요즘은 조금 다르다.
영어는 시간과 돈만 있다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 과목으로 다뤄지고 있고,
수학은 양으로 승부보면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 지 예습을 뛰어 넘어서 1년 2년 선행은 요즘에는 선행으로 치지도 않는 다고 한다.
그런데, 가장 어렵고도 돈으로도, 시간으로도 해결이 안되는 과목이 국어라고 한다.
그래서 속된 말로 '국어는 집을 팔아도 안된다'는 이야기가 떠도는게 현실이라고.
우리말인데 국어가 이렇게 어려울 일인가 싶지만, 영어와 수학에 집중하는 것에 비해서 덜 중요하게 여겨졌던 이유도 있고 최근에 수능에 있어서 국어가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급부상했다고 하기에 학부모로서 관심이 많기도 했다.
아이를 키우고 있는 입장에서 국어, 영어, 수학에 관심은 이러한데 사실 가장 가르치기 어렵고 애매한 것이 국어였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입시 국어학원이야 많지만 초등생들은 학원을 보내기도 애매한데다가 우리말로 된 글을 읽는데 굳이 학원까지 보내야 할 일인가 싶기도 한 탓에 선뜻 알아보게 되지도 않았다. 다른 과목도 학원을 안보냈지만 국어는 특히나 더더욱 절대로 학원 보낼 일이 없을 거라고 자신하고 있었는데 요즘 다들 국어가 어렵다고 하니 초등 국어는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고민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얼마전 문해력 관련하여 다큐멘터리 티비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는데 중학교 국어 시간 수업시간을 촬영해서 방영했었다. 그 때 본 중학교 아이들의 국어 이해도는 엄청나게 충격적이었는데, 국어 시간에 아이들이 많이들이 힘들어 한다는 말을 들었는지만 그 일이 그 아이들 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아이의 일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국어는 단순히 국어과목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과목에도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다. 모든 지식글이 우리말로 써 있고 우리아이들은 그것을 읽고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최근에 학부모들 사이에서 가장 관심이 되는 키워드가 문해력이 아닐까. 교육관련된 모든 분야에 문해력이 다 갖다 붙여지는 것 같다. 그런데 정작 문해력을 키우려면 무얼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이 많이 읽고 많이 써보는 것이 아닐까? 관심이 많은 상황이지만 정작 아이들이 글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는 적은 것 같다. 영어 수학 학원 돌고 숙제 하다보면 책 한 페이지 읽을 시간이 있을 리 만무하다. 학원을 다니지 않아서 시간 여유가 있는 아이들이 있다 하더라도 책을 손에 쥘 수 있을까? 스마트폰에 온 관심을 다 뺏긴 탓에 책에 마음을 쏟을 시간이 없다.
교육전문가들은 아이들의 문해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비문학 도서를 많이 접하고 비판하며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 아이들이 그런 책을 읽을 수 있는 기회가 없다. 학원을 따로 다니게 하지 않고서는 쉽지 않은게 현실. 비문학을 읽혀 보고자 잡지도 구독해보고 비문학 독해 문제집도 풀려 보았지만 그런 것들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었다. 잡지로 다양한 글을 읽히는 것 까지는 좋았지만 따로 쓰기 연습이 어려웠고, 독해 문제집 또한 읽기는 가능하나 아이의 이해도를 체크할 방법이 없었다.
서평단으로 지원하게 되어 받은 [오늘부터 초등 지식왕 2]에서는 아주 최근의 주제들이 다양하게 리스트업되어 있었고 특히 아이들이 관심있어할 만한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흥미를 끌기에 최적이었다.
나 또한 아이에게 이 책을 건네었을 때 아이의 표정은 그닥 좋진 않았던 게 사실이었지만 안에 주제를 하나 하나 읽어 주자 눈빛이 변하면서 신이 나서 책을 받아 들고 바로 써 내려 가는 걸 보면서 '이게 관심사의 힘이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시작은 비록 아이가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에 대한 내용이었지만, 이 짧은 글을 시작으로 다른 글들도 살펴볼 수 있게 된 디딤돌이 되었다.
한자어가 중요하다고 말을 하지만 정작 어떠한 한자어를 익혀야 할지 어떻게 공부시켜야 할 지 막막했는데, 좋은 책을 만날 수 있게 되어서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초등 졸업 후 중등 시작하기 전 이 책으로 공부하면 되겠다는 안성맞춤이라는 생각이 든다. 흥미 진진한 최신 기사를 통해서 비문학 읽기에 재미도 붙이고 한자어의 뜻을 익히고 상식을 넓힐 뿐 아니라 짧은 글도 써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책 한권으로 여러 가지 목적을 이룰 수 있으니 이 보다 더 좋을 수 있을까?
아이가 신나게 읽고 글도 써본 한 페이지를 참고로 첨부 해본다.
부록으로 받은 지식왕 노트에는 마인드맵도 정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본인이 읽은 기사를 써머리하고 나중에 다시 보더라도 한 눈에 익힐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