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전체보기

알라딘

서재
장바구니
브뤼노님의 서재

막스 호르크하이머에 따르면, 비판이론은 인문학 Humanities의한 분과인데, 그 동기는 현실과 이성 사이의 긴장이다.- P159
비판이론은 사회 현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을거부하며, 반대로 항상 그것의 적합성과 정의에 대해 의문을제기한다.- P159
후기구조주의의 가장 중요하고비판적인 기여는 모든 형태의 근본주의에 비판을 제기하기위해 노력한 것이다.- P160
후기구조주의 사고에 따르면 우리는, 자신이 어떠한 문제의 본질을 알고 있기 때문에 진리를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모든 분파들을 의심해야 한다.- P160
건축 작업은 프로그램, 대지, 재료, 역사와 사회적맥락에 대한 모방적 관계를 통해 그것이 속한 사회적 조건에비판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161
이러한 비판적 반영은건축이 자율성을 획득했기 때문에 가능하다. 건축은 기술, 기능, 경제적 요구 등 외부 영향들에 의해 전적으로 결정되는것이 아니다.- P161
건축이 자율성을 획득한 순간에 대한 지각이 비판적 건축에 대해서 참으로 필요조건이긴 하지만, 충분조건인것은 아니다.- P161
근대 건축은 사회적 프로젝트와 등가인데, 기존 사회에대한 비판적 자세를 바탕으로 유토피아적 색채를 가지고 있다.- P162
그들 모두는건축 패턴과 사회 현실 사이에 명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확신했으며 그들의 작업이 더 정의롭고 나은 세상에 기여하는것을 상상했다.- P163
사회 현실을 개선하고자 노력하는 것이 비판적 건축의유일한 개념은 아니다.- P163
마이클헤이스는 다소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작업한다. 1984년그의 논문인 「비판적 건축: 문화와 형태 사이」는 미스 반 데어로에의 작품을 논하는데, 건축의 비판성을 건축의 자율적순간보다는 건축의 자율성 그 자체에 둔다.- P163
미스는 그의 건축을 생각들이 들끓는 커다란 덩어리인 문화culture와 주위환경에서 자유롭다고 가정된 형식 form의 경계에 위치시켰다.- P164
비판이론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란, 사회 현실과의 관계에 대한견해로부터 사실과 담론을 평가하겠다는 주장이다.- P164
건축에서의 비판성에 대한 두 가지의 이해 (하나는 사회적이고 다른하나는 미학적으로 고무된)- P165
이 논쟁에는 아방가르드가 무엇인지를 사고하는 두 가지 다른 방식이 있다. 첫 번째영웅적인 아방가르드는 문자 그래도 ‘전위’라는 의미에 기초하는데, 행진하는 군대의 최전선과 미지의 영역을 탐지하는정찰병을 의미한다.- P165
그들은 아방가르드를 모더니즘의 가장급진적인 부분인 ‘창끝’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더욱 최근에는그에 필적하는 다른 견해가 있는데, ‘위반’이라는 측면을 강조한다. 이 견해는 페터 뷔르거에 의해 이론화 되었다.- P166
그들의 목적은 일상생활과 괴리된 예술, 사회 시스템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 독립적인 영역으로서의 예술을 폐지하는 것이었다.- P166
미래주의, 다다이즘, 구조주의, 초현실주의 같은 운동들은 ‘예술을 삶 속으로!’라는 원칙에 따라 행동했고 예술적 행위와 일상생활을 분리하는 전통적 경계에 반대했다.- P166
안드레아스 후이센 Andeas Huyssen은 아방가르드와 모더니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그러한 방식으로 아방가르드를 이해했다. 그에게 아방가르드는 모더니즘의 가장 급진적인창끝이 아니라 모더니즘에 대한 대안이다.- P166
헤이스와 아이젠만이 지지하는 비판적 건축에 대한 미국식 인식이 엘리트적 외견의 모더니스트와 가깝다면, 필자가 지지하는 유럽식 이해는 예술과 일상의 분리를 철폐하는 아방가르드 개념과 더 가깝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P167
비판적 건축에 대한 그들의 생각은 명백하게 미국적 색채를 선호하며, 재현과 자율성이라는 개념에 기초해서 지시적 indexical과 변증법적dialectical이라 성격 짓는다.- P167
베어드가 지적한 것처럼 콜하스를 탈비판적 부류로 의구심 없이 편입시켜버리는데는 약간의 문제가 있다.- P168
그들의 전략은 ‘비판적 건축’의 전체 개념에 대한 잘못된표현이라고 정리될 수 있다.- P171
비판적 건축의 지엽적 측면에집중하여 다른 부분을 외면함으로써, ‘투사적 건축’이라는새로운 종류의 건축을 옹호하는데, 그것은 많은 부분 단지오래된 ‘비판적 건축’의 새로운 변용일 뿐이다.- P171
라인홀드 마틴이 지적하듯이 "탈비판적 프로젝트는 참으로 오이디푸스적이다"- P171
우리는 유토피아적사고가 모더니즘 운동의 가장 중요한 유산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왜냐하면 유토피아적 사고는 현재 상태를비판하는 역량과 더 나은 세상을 상상하고 건설하고자 하는결단의 용기를 담지하기 때문이다.- P176
자하 하디드와 패트릭 슈마허의 작품 전시회는〈잠재된 유토피아〉라고 제목을 붙였었다. 그리고 그것의홍보물은 ‘모든 시대는 자신의 유토피아가 필요하다. 자기 미래의 발전을 사고하지 않는 사회는 흥미롭게도 매우불안정하고 심지어는 괴물 같다.‘라고 했다.- P176
오늘날 유토피아는 미래 사회에 대한단일하고 잘 규정되며 단도직입적인 개념일 수 없다.- P177
유토피아는 불가피하게 역설과 모순에 의지한다. 그리고 우리는현재를 무엇이든 더 나은 미래로 변형시키기 위해 역설과모순을 가지고 작업할 수밖에 없다.- P177
‘구체화된 유토피아’라는 용어와 일치한다. 그들에게 이 용어는 현재의 제한적이고 차별적인 공간에 대한 대안을 상상하는 행위와 모든 물질성에서 그것을 실현하는 것을 지시한다.- P178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