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신화의 유의어에 관하여.


이집트 창조신화의 계보와 정립과정















중국 창조신화의 세계관과 구약 그리스 바빌론 신화의 세계관 비교 검토









굴원(屈原)의 천문(天問)과 유안(劉安)의 회남자(淮南子)에 실린 중국 최초의 창조신화






반고신화와 혼돈(제강)의 창조신 살해 모티브 비판적 비교검토













도道 와 기氣, 음양陰陽 - 창조의 동력












홍수 남매혼 신화와 근친상간의 금기












근친상간의 회피로 인한 신화 텍스트의 변형 : 일본, 구약, 그리스 신화의 사례





한국의 달래고개 설화와 중국 소수민족의 신화







한국 신화와 류큐 왕국 신화의 유사성 검토



















문학 속에 나타난 홍수 남매혼 신화의 물과 근친상간의 이미지 : 황순원의 소나기와 서머싯 몸의 비를 중심으로





























PS. 이곳엔 싣지 못했지만 제 3장인 바빌론의 창조신화에 관한 해설은 무척이나 요긴하다. 이 책은 중고로 구입한 도서이기에 하필 3장만 필기가 심하여 찍지 않았다. 에누마 엘리시의 유용한 해석이 본서에서 얻은 가장 큰 수확이었음을 고려하면 아쉬운 낙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