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로드맨님의 서재
  • 학교 공간, 이렇게 바꿨어요!
  • 권미나 외
  • 14,400원 (10%800)
  • 2021-03-05
  • : 586
   

 

 

 

공간 혁신에 관한 책답게 디자인에 눈이 간다. 산뜻한 디자인과 색감으로 시선 집중 성공.

 

 

공간 혁신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면 이렇다.

1. 교육적 가치와 목표 설정

2. 교육과정 재구성, 학교 운영 방식과 교수학습방법 결정

3. 학교 공간 점검

4. 공간 혁신 계획 수립

5. 실행


 

'자연'을 주제로 한 중앙 현관 로비 설계도이다. 그 결과는?


중앙 현관 - 학습과 놀이의 공간

짠!

중앙 현관의 딱딱한 대리석과 낡은 출입문의 느낌은 없다.

그냥 지나쳐 가는 공간이 아닌,

놀이, 쉼, 학습의 공간으로 변신!


설계도와 실제

- 틀린 그림 찾기!

- 정답: 미끄럼틀!

미끄럼틀은 안전상의 이유로 설치되지 않았다. 설계는 수정되기 마련.


교실 앞 복도? 놀이터?

"복도에서 뛰지 마라!"

(그렇게 말씀하시면 더 뛰고 싶더라...)

역발상이다. 복도에서 재미있게 뛰어 놀아 보자. 숨어서 몰래 놀지 말고.

(대신 종 치면 바로 들어와!)


학교 안에 놀이터가?

어렸을 땐, 동네 공터에서도 신나게 놀았었지. 비석 치기, 가위팔방, 땅따먹기 등등.

학교 안의 공간에 놀이기구를 채우기보다,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내가 만든 의자

어릴 적 음악 시간에 부르던 노래 생각이...

"우리~집은 내손으~로 지~을 거예~요~"

직접 만든 가구들이라면,

안 부수고 아끼면서 사용하겠지?

앉아서 도란도란 얘기도 하면서?


공간을 직접 꾸미는 일의 가치

"나는 제작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학생들이 직접 학교를 꾸민다는 것은, 자신이 학교의 주체임을 깨닫는 과정이다.


거리두기만 끝나봐라...

수학여행날 밤,

가장 넓은 방에 모여 놀듯이,

그렇게 공부하면 재미있겠지?


스터디카페?

스터디카페,

굳이 돈 주고 갈 필요 있나요?


학교에 다 있는데.




트랜스포머, 변신 준비!

- 좁은 공간을 넓게 쓰는 방법?

- 정답: 변신!

수업마다, 학급마다 수업 방식은 다양하다. 공간의 기능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면?


교실 기능의 다양화


교실이야? 무대야?

강의식 수업, 협력학습, 세미나수업, 동료학습, 개별학습, 발표회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복합 공간.

- 여기가 뭐하는 곳이냐고?

- 그때그때 달라요~


카페? 북카페? 도서관!

어릴 적 엄마가 하시던 말씀.

"심심하면 도서관에 가라."

(심심해도 거긴 안 갈래요...)

도서관이 저렇게 생겼으면, 가지 말래도 갔을 거다!


도서관 2층엔 이런 곳이!

도서관에서는 책만 읽는 게 아니다!

공간을 분리하면,

독서, 대화, 토론, 제작 실습 등등등!

복합 공간이 된다는 사실!


특수학급 - 모든 학생이 가고 싶은 공간

- 특수학급에 제가 가도 되나요?

- 물론이죠!

공간만 바꾸었을 뿐인데,

특수학급에 대한 인식이 바뀌었다!

어떻게?

아래 글을 읽어 보자.






마음을 연 자폐성 장애 학생


특수학급에 대한 인식 개선

자폐성 장애 학생이 사진을 찍어달라며 말을 걸어 오는 곳,

'특수학급에 가는 친구'라고 놀림받지 않는 곳!

공간의 힘이란!

(그뿐만은 아니었겠지만.)


상담실에 베개가?

- 선생님, 너무 힘든데, 잠깐 기대도 돼요?

- 그럼, 누워서 편히 얘기해도 돼.

이런 상담, 하고 싶습니다.

 

학교 공간 혁신이란 무엇인지,

학교 공간 혁신을 하면 뭐가 좋은지,

학교 공간 혁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다양한 사례들에 담았다.

 

 

작성된 태그가 없습니다.

태그달기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