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하게 살아있는 캐릭터 만드는 법>
dreamgirl 2023/01/22 03:03
dreamgirl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 생생하게 살아 있는 캐릭터 만드는 법
- 키라앤 펠리컨
- 18,000원 (10%↓
1,000) - 2023-01-10
: 1,932
이야기를 쓰면 쓸수록, 캐릭터가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캐릭터가 제대로 잡혀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정해진 시놉시스를 따라가려고 하다보니, 자꾸만 캐릭터가 이랫다 저랬다 하는 식으로 바뀌곤 한다.
이야기가 길어질수록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캐릭터의 다면적인 부분이 많이 드러나게 되고 이야기를 풀어내는 과정에서 생각지 못한 상황을 맞닥뜨리고 나면 쓰는 사람조차 길을 잃고 방황하게 되기 쉽다. 캐릭터를 잡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고도 어렵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도대체 살아 숨쉬는 캐릭터는 어떻게 만들 수 있는 걸까?
저자는 성격 심리학, 진화 심리학, 신경과학, 네러티브 심리학, 미디어 심리학, 발달 심리학 등 현대 심리학 이론과 연구들을 활용해서 작가들이 적용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성격 심리학은 이론적 틀의 핵심으로 다양한 상황에서 성격이 생각, 감정, 행동, 대화, 동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룬다. 진화 심리학의 경우, 인간의 뇌가 인간이 해결해야할 적응 문제가 많아, 개별 단위로 전문화된 집합체로 진화하여 아무 때나 상반된 생각이나 감정, 동기에 자극을 받는지 설명한다.
신경과학은 다양한 인물의 행동이 우리의 감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낙관주의를 선호하는 인간의 보편적 성향이 이야기에 반영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설명한다.
내러티브 심리학을 통해서는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의 종류와 이러한 사건이 우리의 정체성을 변화시키는 방식을 알 수 있다.
미디어 심리학은 사람과 미디어, 기술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우리가 어떤 인물에게 공감하고 인물의 어던 행동이 우리의 심리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한다.
발달 심리학은 사람들이 일생에 걸쳐 어떻게 변화해가고 왜 달라지는지 연구함으로써, 인생의 여러 단계에서 직면하는 일반적인 관심사 등이 주인공의 여정에서 목표 변화로 작용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방대한 내용을 다루다보니, 각 부분의 설명이 자세하기 보다는 약식으로 설명된 경우가 많은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경우마다 그에 해당하는 유명한 영화의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이해하기 쉬웠다.
책을 읽은 후, 캐릭터를 생동감 있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자세하고 정밀한 설정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돌아가 전체적으로 조망해보며 왜 내가 쓰려고 했던 이야기의 캐릭터가 문제가 있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다.
시간은 많이 들게 되겠지만, 책을 보며 찬찬히 인물들을 제대로 구축해서 이야기를 끌어가는 캐릭터를 만들고 싶다.
PC버전에서 작성한 글은 PC에서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