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가족과 신분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들에게 사회의 수용도가 높아진 점은 긍정적인 변화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결혼대행업과 마찬가지로 성매매와 결혼 매매의 일반화는 성별 선택이 만연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이 성별 선택의 결과를 간과하게 만들 수있다. 카우르는 여성 부족 현상이 "우리가 바라는 대로 성 감별 낙태의 감소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라고 탄식했다.- P275
특이하지만 유감스럽게도 반복되는 한 시나리오에 따르면 성비 불균형이 높은 지역으로 팔려 간 여성은 결혼 후에 남편의 남자 형제들과도 성관계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 여성이 여러 남성과 결혼하는 일처다부제는 한때 중국과 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가족의 토지를 아들들 사이에서 나누지 않기 위해 시행되었지만 널리 확산되지는 않았다. 오늘날 아시아인들은 대부분 그런 풍습에 눈살을 찌푸린다. 그리고 아들 여러 명을 위해 여성 한 명을 사는 부모들은 보통 그 사실을 이웃들에게 숨기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일처다부제는 팔려 가는 여성에 대한 수수료에 반영될 정도로 일반화되었다. 여러 남성과 성관계를 가져야 하는 여성은 더 높은 가격에 팔린다.
다른 암울한 사례는 구할 수 있는 아내가 사춘기 이전의 소녀밖에 없는 경우다. 인도는 전 세계 아동 결혼의 40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오랫동안 아동 결혼이 많이 이루어진 나라인데 독신 남성이 넘쳐나면서 이런 경향이 촉진되었다. 특히 성별 선택이 가장 성행하는 북서부 지역의 상황이 심각하다. 라자스탄주에서는 매년 4월에열리는 축제인 악샤야 트리티야 Akshaya Tritiya에서 소녀들이 정기적으로 결혼을 하는데 그중에는 유아들도 있다.
중국에서도 아동 결혼이 증가하고 있다. 유아나 어린 소녀를 사서 미래의 남편과 함께 키우는 민며느리제라는 사라졌던 풍습이 다시 등장했다. 부모들은 일찍부터 결혼 시장을 장악해놓음으로써 안심할 수 있고 나중에 아들이 괜찮은 신붓감의 환심을 사는 데 필요할 돈을 어떻게 모을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P276
중국의 공안 관료들은 해마다 수천 명의 여아가 유괴당한다고 추정한다. 유괴되는 여아의 숫자가 너무 많아서 경찰은 ‘베이비 컴 홈‘이라는 온라인 등록소와 부모들이 아이를 잃어버렸다고 보고할 수 있는 DNA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세계의 한모퉁이에서 딸을 가진 부모들은 탐탁지 않은 선택에 직면해 있다. 딸을 소개업자에게 팔아 하층계급의 여성으로 만들든지, 혹은 유괴당하지 않도록 단단히 지키든지 선택해야 한다.
외국으로의 여성 매매는 최소한 국제이주기구 같은 국제조직들의 감시를 받는다. 그러나 국내의 다른 지역으로 보내질 위험에 처한 여성들에 대해서는 살피는 사람이 없다. 일단 여성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남편이나 포주가 지정되어 완전히 그들 소유가 된다. 타이완이나 한국에 사는 베트남 신부들과 달리 북서부 지방으로 보내진 인도 북부 출신 여성들에게는 도움받을 곳도 그녀의 권리를 설명해줄 법정대리인이나 안내서도, 언어나 문화 교육도 없다.- P277
그들은 결혼을 주선한 뒤 부부가 정착하기를기다렸다가 가족의 귀중품을 들고 한패인 신부와 함께 도망쳤다. 수사관들은 중개인들이 젊은 여성들로 구성된 범죄 조직을 이끌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지난해에 왜 특정 지역에서 신부가 도망친 사건이 열두 건 가깝게 일어났는지 설명해주는 대목이었다. 인도 언론은 이런 여성들을 "가짜 아내"라고도 불렀다. 2009년에는 중국 시골 주민들이 매우 흡사한 계략에 넘어갔다. 그해에 산시성 어느 도시의 경찰은 팔려 온 신부가 도망친 사건을 열한 건 기록했다. 이곳에서도 경찰은 범죄 조직에 속한 여성들을 의심했다. 신부 중 세 명이 몇 달 사이에 도착해 중국의 같은 지역에서 온 친구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수천 달러의 신붓값을 들고 같은 날 달아났다.
소녀들이 거리에서 납치되고 젊은 신부가 사기꾼으로 밝혀지는사회는 당연히 살기 좋은 곳이 아니다. 하지만 성비 불균형이 불러온 인신매매와 매춘의 증가는 안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덜 분명한 방식으로 사회를 변모시킬 수도 있다. 성과 결혼의 상품화는 재산이 많은 가족이 아들의 아내를 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점점 더 여성이 부족해지고 신부를 얻으려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부모들이 모으는 돈의 액수와 그 외의 자산이 급격히 늘어난다.- P278
다른 학자들은 잉여 남성의 화산으로 성병 발생이 늘어날 것이라고 믿는다. 중국은 이미 세계에서 가장 면밀하게 HIV와 에이즈를 관찰하고 있는 지역 중 하나다. 감염률이 아직 전염병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지난 몇십 년 동안 에이즈는 특히 주요 위험군에서 급격하게 상승했다. 2008년 중국에서는 에이즈가 전염병 가운데 주요 사망원인이 되어 결핵이나 광견병보다 에이즈로 사망한 사람이 더 많았다. 이러한 증가와 병행해 중국의 HIV 보균자 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한때 HIV는 주로 정맥에 주사하는 마약으로 전염되었지만 점점 성관계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매춘이 증가하는 데다가 중국 남성들은 미국 남성들보다 콘돔 사용률이 낮아서, 성관계로 감염된 사람들의 수가 중국 전체 HIV 보균자 중 44퍼센트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매춘을 연구한 경제학자 이번스타인과 샤리긴은 더 많은 잉여 남성이 성년이 되면서 그 비율은 더 올라갈 것이라고 말한다. 현재의 성매매 비율이 꾸준히 유지될 경우 중국의 편향된 출생 성비로 인해 돈을 주고 성관계를 맺는 남성의 수가 2~3퍼센트 증가할 것이며, 이런 변화는 다음 30년 동안 HIV 감염 인구가 가파르게 증가할 것이라는 의미다.
오랫동안 독신으로 지내는 남성이 단지 매춘부만 자주 이용하라 볼 수는 없다. 잉여 남성들은 보건 연구자들이 ‘교량 인구‘라고 부르는 집단, 즉 고위험군에서 저위험군으로 바이러스를 옮기는 집단이 되기도 한다. 잉여 남성은 10대와 20대 때 매춘부에게서 HIV에 감염될 수 있다.- P279
교량 인구는 사하라사막 남쪽의 아프리카 치역에 HIV가 퍼지는 데 한몫을 했으며, 2005년 잡지 《AIDS》에 기고한 미국과 중국의 의학 연구원들에 따르면 오늘날 아시아의 잉여 남성들은 "앞으로 HIV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에이즈 연구자들은 아시아 대륙의 성비 불균형은 아시아의 보건 활동을 재고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말한다. "콘돔 장려, 성교육, 의료 교육 등 전통적인 조치를 강조하는 예방 전략에서 잉여 남성과 성매매 종사자들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전략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에 따라 젊은 미혼 남성을 대상으로 증가하는 성적 위험을 반드시 올바르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P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