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이터너스님의 서재
고퀄!!!
이터너스  2023/11/13 20:52
  • 월간 불광 vol.589 : 금강역사 사찰로 온 헤라클...
  • 불광 편집부
  • 11,400원 (5%360)
  • 2023-10-24
  • : 175
불광
VOL.589

금강역사 : 사찰로 온 헤라클레스

불광 이번호를 보고서야
사천왕과 금강역사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사천왕은 천계에 있다고 묘사되며 4명!
제가 절에 가서 보았던, 금강역사라고 착각한 분들.

금강역사는 절 입구에 있고 2명!
웃통까고 있는 근육질🤭

사진자료들이 매우 풍부해서
금강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고
눈도 즐거웠어요.

글과 사진 모두 한 단어로 느낌받습니다.
고퀄!!!

여러 전문가들께서 각각의 주제로
금강역사의 변천사와 사료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주셨습니다.

부처를 수호하던 금강역사는 인도 미술에선 하나였는데, 중국으로 넘어오면서 둘이 되었다죠.

p.39
부처님이 되기 위해 수행의 길로 나선 싯다르타 태자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호위한 금강역사는 간다라 불전미술(석가모니의 생애를 표현한 미술)에서 성도 후 입멸할 때까지 그가 맡은 임무를 철저히 수행했다.
현재 파키스탄은 석가여래 당시 북인도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그리스 문화와 불교가 만나 간다라미술이 형성된 곳이다.
알렉산더(기원전 356~323) 대왕의 동방원정으로 이곳에 전파된 그리스 문화에 기반한 헬레니즘은 간다라불상에 그리스신의 모습을 투영시켰다.
간다라 지역에 이식된 헬레니즘의 영향은 석가여래를 호위하는 금강역사에게도 반영됐다.
바로 그리스신 가운데 힘의 상징인 헤라클레스가 간다라불전미술에서 석가여래의 호위 무사인 금강역사로 모습을 바꾼 것이다.

p.54
원래 1구였던 금강역사가 중국에서 쌍이 된 것은 중국 고대의 좌우 대칭 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한쪽은 입을 열고 한쪽은 입을 닫고 있다고 하는데요, 《불광》 덕분에 비로소 보입니다.

인도 중국 우리나라 일본 각지에서 고유한 문화와 어우러져 다 다른 모습으로 금강역사의 얼굴과 옷차림을 표현하고 있는걸 화보로 확인하니 그 또한 지적 즐거움이었지요.


여러 글들이 지식을 전해주어 금강역사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니 마치 블록퍼즐이 완성되는 것 같다고 느꼈고요.

<스님의 공부법> 저자, 공부천재 자현 스님의 인터뷰.
불교와 유튜브의 어우러짐 그리고
신도들과 함께 혁명적인 미래를 끌어오고 계시는 이야기에 이 분은 정말 용맹정진하시는구나 감탄을!!

그리고
이중표 교수님과의 대담은 정선 니까야 시리즈를 읽고싶다는 열망을 불러일으킵니다.
부처님 형상을 한 조각보다 부처님 말씀인 경전 위주로 불교가 달라져야 한다는 말씀에 밑줄 쫘악.

불광은 매월 하나의 주제를 깊게 파고드는, 그럼에도 알기 쉽게 알려주는 잡지임을 확실히 알았어요!!!

이번에 좋은 기회로 금강역사 스토리를 즐겼습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