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이야기네
와 어릴 때 읽었으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그런 기분이 든 책이다.
그만큼 좋았단 소리다. 지금의 내가 읽은 소감과 어린 시절 내 자신이 읽은 느낌이 어떨지 궁금해진 책이어서 더 그런 기분이 드는 것 같기도 하다.
용감한 이야기이자 언제나 항상 필요한 이야기기도 하고 정의와 인권, 혐오에 관한 이야기이다..
인종차별이 존재하는 지역에 흑인 범죄자를 변호하게 된 변호사 애티커스
애티커스의 태도와 생각은 지금의 관점에서 봤을 때는 너무나 보편이고 당연한 태도와 생각이지만 대공황 시기 그리고 여전히 인종차별이 만연하던 미국의 남부 지역에서는 이해받기 힘든 태도였고 이해받지 못한 태도였다.
흑인을 변호한 이유로 협박도 받지만 애티커스는 자신의 신념대로 변호하고 그의 아이들에게 정의에 관해 이야기하고 차별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을 무조건 비난하거나 미워해선 안 된다고 가르치는 진보적인 인사이다.
솔직히 어떤 지점에서는 좀 중립적인 태도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피부색으로 인한 차별, 약자에 대한 혐오를 정당화하는 그 밑에는 상대에 대한 미움과 혐오가 있는 것이라서 애티커스의 태도와 가르침은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특히 가장 좋았던 말은 '하지만 난 다른 사람들과 같이 살아가기 전에 나 자신과 같이 살아야만 해. 다수결에 따르지 않는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건 바로 한 인간의 양심이다.(p200)' 이었는데 애티커스는 그 생각을 몸소 실천하며 살아가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또 좋았던 장면은 법정에서 배심원에게 이야기하는 마지막 변론이었는데 평등하게 창조된 가치가 사법제도이고 그 가치를 지켜달라 이야기하는 장면이었는데 이 장면에서 울컥했던 건 그 말이 여전히 이상적인 가치로 남아 있었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하다.
무거운 주제인데 쉽게 읽히는 것을 이 이야기의 또 하나의 축인 성장 소설적 성격 때문인 것 같다.
소녀 시절의 나를 회상하며 전개되는 이야기는 소녀였던 나의 시점으로 전개되는데 어린아이의 눈으로 보는 세상 그리고 어른들의 태도 숙녀가 되길 강요하는 고모의 말을 듣지 않고 멜빵바지를 입고 뛰어다니는 소녀의 관점은 때론 진지했고 때로 사랑스럽고 귀여웠다. 경험을 통해 하나하나 채득하며 타인에 대한 사랑과 관용 사랑, 약자에 관한 태도를 배우던 스카웃이 타인의 집이었던 문 앞에서 동네를 바라보는 장면은 아버지가 알려준 가르침과 자신이 경험한 것을 통해 스카웃 스스로 깨닫고 성장한 장면이라 넘 좋았다.
왜 제목이 앵무새 죽이기일까? 궁금했는데 다 읽고 나니 이 책을 관통하는 이야기란 생각이 들었다.
여전히 이 책이 읽히고 있다는 것은 그리고 읽어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애티커스의 태도가 여전히 이상적이라서 그런 것일까?
그 지점을 생각하니 좀 씁쓸하기도 하다.
우리는 언제쯤 앵무새를 죽이지 않는 세상이 올까?
그리고 사법의 정의가 이루어지고 약자에 대한 혐오, 타자에 대한 혐오를 멈추는 세상이 올까?
이 책의 이야기가 과거의 이야기로 온전히 남을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