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발터 벤야민은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법한 철학자다. 그의 대표작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이며, 나 역시 그가 제시한 여러 개념 중 '아우라'에 대해서만 알고 있었다. 아우라란 예술작품이 원본으로서 가지는 고유한 존재감이나 권위를 뜻하는데, 벤야민은 기술적 복제의 발달이 이 아우라를 소멸시킨다고 보았다.
하지만 솔직히 말해, 이처럼 벤야민의 개념 하나만을 안다고 해서 그의 책을 온전히 이해하기란 쉽지 않았다. 이번에 읽은 책은 벤야민의 픽션을 모았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소설이라기보다는 에세이, 수필, 경험담, 서평, 꿈의 기록에 더 가까웠다. 특히 서평의 경우에는 비평문에 가까울 정도로 분석적인 글쓰기가 인상적이었다. 이 책은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넘나들며, 벤야민이라는 인물의 다면적 사유 세계를 보여준다.

출판사 서평에서도 언급되었듯, 이 책은 벤야민이 문학적 글쓰기와 비평적 글쓰기 사이의 경계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음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수록된 단편들은 때로는 결말 없이 끝나거나, 독자가 유추조차 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마무리되곤 한다. 그렇기에 이 책은 완결된 이야기의 모음이라기보다는, 발터 벤야민의 단상과 아이디어가 조각조각 흩어져 있는 사유의 스케치북에 가깝다.
하지만 어려운 만큼, 이 책은 분명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큰 감흥을 받았다고 말하긴 어렵지만, 발터 벤야민의 논픽션을 이처럼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또 어디에 있을까? 그의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한데 모은 책은 드물기 때문에, 벤야민을 더 깊이 공부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라면 충분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형식의 경계를 허무는 이 독특한 구성은 벤야민 특유의 사유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그의 세계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