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storax님의 서재
  • 왜 당신은 죽어가는 자신을 방치하고 있는가
  • 고윤(페이서스 코리아)
  • 13,860원 (10%770)
  • 2024-10-18
  • : 5,538

다양한 심리 사회적 요소에 의해 증후군(症候群, syndrome)을 겪는 현대인들이 많다. 증후군이란 보통 질병의 증상이 단일하지 않고 그 원인이 불분명할 때 쓰이는 용어이다. 현대인이 겪고 있는 증후군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너무 많다. 이 책은 그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심리 현상 43가지를 뽑아 현재 자신이 가진 삶을 고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저자 말처럼 "우리는 진정 나를 보살피며 살고 있을까? 혹시 타인을 위해 희생하느라 바쁘고, 보이는 껍데기에 혈안되어 죽어가는 나를 방치하고 있진 않은가? 진정 행복한 삶을 꿈꾼다면 ‘끌려가는’ 삶이 아닌 ‘선택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그 이유는 사회가 원하는 완벽함을 추구할수록 점점 자신이라는 개체성을 잃어가기 때문이다. 이 진리를 깨닫기가 어렵지만 완벽주의에서 벗어난다면 그것은 온전히 나를 위한 시간을 만들어 내고, 그 속에서 곪았던 상처를 치유하며 잃었던 생기를 되찾게 되는 것이다. 즉 진정한 '나다움'을 만나게 된다.

랄프 왈도 에머슨이 이런 말을 했던 것을 기억한다.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잃으면, 온 세상이 나의 적이 된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인물이다. 그가 쓴 '자기 신뢰'라는 책은 자기 주체성을 갖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런 면에서 조슈아 베커의 《삶을 향한 완벽한 몰입》 중에서 이런 내용의 글이 이 책과 부합되는 것이 있어 인용해 본다.

"우리의 목표는 다른 사람들의 인정을 얻는 게 아니다.

그것은 공허하고 덧없는 것일 뿐이다.

우리의 목표는 누가 칭찬하든 말든, 모든 잠재력을 발휘하며

내게 주어진 인생을 사는 것이다."

현대인들의 문제는 사회가 원하고, 부모가 원하는 삶의 매커니즘에 너무 흠뻑 빠져 있다. 그래서 눈치 문화라는 말도 만들어졌다. 사람은 타인을 통해 삶을 배워가고, 자신을 비추어 보면서 자기 삶을 만들어 간다. 그런데 지나친 주변 인식은 자신이라는 주체성을 잃어버린 가면적 삶을 살아가게 한다. 그런데 이런 가면적인 삶은 그 삶이 완벽해 보여도 영혼은 심각한 형태로 병들어 있다. 결국 이러한 심리적 문제는 다양한 심리 증후군으로 나타나 자신의 삶을 옥죄게 만들어 별별 심리적 증후군을 만들어 낸다. 증후군 가운데 '민모션 증후군'이 있다. 이것은 "울고 눈물이 마구 흐르지만 입 밖으로 소리를 내지않고 우는병을" 말한다. 스스로의 감정을 억제하기 때문에 다른 말로는 '감정억제증후군'이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억지로 감정을 억누르면 심리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즉 감정 억제는 곧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면역 체계나 호르몬 분비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때문에 무조건 자신의 감정을 부정적이라 생각치 말고 때로는 펑펑 속 시원하게 털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울고 싶을 때 펑펑 울고 난 후에 불안감이나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묵었던 감정이 해소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스마일마스크 증후군'이 있다. 겉으론 웃고 밝아보여도 속으론 매우 아프고 울고있는 병으로서 마치 웃고있는 마스크를 쓴것처럼 있어서 그렇게 부른다. 문제는 이러한 감정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면 불안함과 스트레스가 겹쳐지며 무력감, 식욕감퇴, 불면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상황이 이어진다면 우울증으로 변화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책을 열게 되면 PTSD라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증후군을 소개 한다. TV '나는 솔로'에서도 번번이 언급되기도 하는 이 말은 현대인들이라면 어쩌면 다 겪는 증후군일 것이다. 각자만의 PTSD가 있다. 그러나 그 상황을 이겨낼 수 있음을 저자는 보여 준다. 저자는 혈액암이라는 상황에서 PTSD를 겪었다. 그리고 그것이 그의 인생을 더 나은 것으로 만들었으니 이런 증후군에 빠진 자들에게 저자의 글은 힘이 될 것이다.

아픔을 겪는 것은 삶의 일부이지만,

그것이 우리를 정의하지는 않는다.

오프라 윈프리

또 다른 증후군이 눈에 들어 온다. 그건 '영웅 증후군'이다. 다른 말로는 '인정 욕구'를 말한다. 누군가에게 인정받는 행위는 근본적으로 만족감을 느끼는 동시에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는 건강한 마음 가짐이다. 그런데 모든 상황에 다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뭐든지 지나치면 문제이듯 타인으로부터 인정과 신뢰를 받기 원하는 마음이 지나치면 과도하게 사람들에게 잘 보이고자 하고, 타인의 시선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타인의 평가로 자신의 가치를 판단하게 되고, 사회적 관계에서 늘 불안감을 느끼며 살게 된다. 특히 영웅 증후군은 꽤나 깊고 복잡한 심리적 현상인데 자신을 영웅으로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문제를 일으켜서, 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영웅처럼 보이려고 한다. 실제 1960년대 뉴욕에서 몇몇 소방관들이 고의로 화재를 일으키고 이를 진압하여 영웅으로서의 명성과 인정을 받으려고 했던 사건이 있었다. 그래서 영웅 증후군에 속한 자들은 주목받고 인정받고 싶은 욕구 때문에 자연 재해나 긴급 상황에서 사람들을 돕기 위해 자원봉사를 하면서 사람들에게 영웅으로서 드러나려고 한다.

그런데 “그래도 영웅 증후군은 타인을 돕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거니까 괜찮은 거 아닌가?"라고 말하는데 물론 그렇게 비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과한 행동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부모와 친구, 동료와 연인 더 크게는 나와 안면식도 없는 사람에게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그래서 스스로 상처 받고, 지치고,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늘 불안함에 떨며 나를 잃어간다. 따라서 자신의 인생을 스스로 만족해 하며, 내 가치를 남이 아닌 나에게 두며 살아야 할 것이다. 내가 나를 칭찬하고 독서를 통해 세상을 넓게 바라보고 작은 성취로 잃어버린 자존감을 회복하면서, 나 스스로의 삶을 소중하게 생각한다면 필요 없는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상처를 받지 않을 것이다.

"꼭 모든 사람에게 인정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부처나 예수조차 모든 이에게 인정받지 못했다. 타인에게 인정받기를 갈구하지 마라. 그럴 필요는 없다. 인정 받아야 할 곳은 상대가 아닌 자기 자신이다." -법상 스님

저자가 뽑아 놓은 증후군 43가지는 내 삶에 나도 모르게 흩어져 있는 자아를 살필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파랑새 증후군부터 시작해서, 번아웃 같은 대중적인 증후군, 아스퍼스 증후군, 아도니스, 침묵의 나선, 리셋, 팅커벨, 피터팬 증후군 같은 현상을 보며 사회적인 진단과 함께 나를 알아가는 시간이 되어서 심리적인 방어선이 든든하게 채워지는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어려운 철학과 두꺼운 책이 부담스러운 현대인들에게 저자 자신이 스스로 경험하며 터특한 것을 녹여서 글을 썼기에 읽기 쉬운 에세이처럼 편하게 읽었다.

이 책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에 존재하는 심리 현상을 명약관화에게 잘 정리해 죽 있다. 그래서 쉽게 자신을 돌아보고 고장난 점을 찾으면서 스스로의 심리적 치료를 맛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책을 통한 오은영 박사의 가르침이라고 보면 좋겠다. 

- 이 글은 컬처블룸을 통해 도서를 협찬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 책의 한 문장

“이제 남은 시간은 온전히 당신의 것이다. 이제부터는 당신 홀로 삶이라는 여정을 떠나야 한다. 앞으로의 길이 언제나 평탄할 것이라 기대하지 마라. 좋은 일만 가득하리라 기대하지 마라. 삶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때로는 이해할 수 없고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 당신을 찾아갈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야말로 인간으로서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아닐까? 당신이 겪는 모든 감정과 경험은 결코 그저 무의미하게 스쳐 지나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당신이라는 존재의 일부이며, 그 모든 조각이 모여 하나의 완전한 그림을 이룰 것이다.” -에필로그 中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