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고민 없이 골랐다.
2019 젊은작가상 수상 단편 '넌 쉽게 말했지만'의 작가인 이주란 소설가의 세번째 소설집이었기 때문이다.
'넌 쉽게 말했지만' 때문에 2019 젊은작가상 소설집을 샀고, 그해 마음이 푸석푸석 마르고 갈라지는 순간마다 물 한 잔 마시듯 저 단편을 몇 번이고 읽었다.
그래서 이번에도 고민없이 골랐고, 오랜만에 이주란 작가님의 단편들을 읽게 되었다.
작가님의 단편 속 주인공은 어쩐지 사회에서의 자리가 미약하고 내몰렸더라도 어떻게든 삶을 포기하지 않고 천천히 살아가는, 자신의 최선을 다해 하루를 살고 내일을 맞이하는 인물인 것 같다.
불안정한 계약직 생활을 버티다가, 자신을 위해 일을 그만두고 제 하루를 돌아보며 다시 자신을 위해 살아가는 그런 인물들.
내가 나라서 주어진 이 삶에 대하여, 불현듯 불안과 좌절, 무력감을 느끼지만, 희미한 희망과 따뜻함으로 오늘을, 내일을, 그 다음을 살아가는, 들꽃 같은 사람들.
그래서 그 시절의 내가, 지금의 나도 작가님의 소설을 좋아하는 것 같다.
이 소설집을 읽다가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이 세상은 멋드러진 사람들만 전시하며 우리에게 '더 나은 삶'을 살라고 강요하지만,
남들이 '시시하다', '별 거 없다', '쓸모 없다'라며 함부로 얘기해선 안 되는 각자만의 삶과 방식이 있다.
채도가 낮든, 명도가 짙든 내 삶은 나의 것, 네 삶은 너의 것.
결국 나는 나고, 다른 사람도 아닌 내가 하루하루 살아가는 게 내 삶이며, 그걸 부정하거나 긍정할 수 있는 건 나뿐이다.
앞으로도 내가 나라는 것을 싫어하지 않고, 나의 몸과 마음에 집중하며, 나와 사이 좋게 하루하루 살아가고 싶다.
얇지만 단단한 뿌리를 내리듯 희미한 희망과 기대를 갖게 된다.
이게 "다음이 있다는 마음"인 걸까?
이주란 작가님의 소설집을 오랜만에 읽은 겸 작가님의 다른 소설집도 읽고 싶다.
이번에도 한겨레출판 덕분에 좋은 책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