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이세요?
테일 2025/04/03 10:00
테일님을
차단하시겠습니까?
차단하면 사용자의 모든 글을
볼 수 없습니다.
- 당근이세요?
- 표명희
- 13,500원 (10%↓
750) - 2025-03-21
: 600
내 핸드폰에도 당근 어플이 깔려있다. 당근을 그럭저럭 잘 사용하고 있는데 워낙 이름난 악명에, '그것 조금 아끼자고 중고로 산다고?' 하는 표정을 짓는 사람을 가끔 만나기 때문에 당근 어플을 종종 이용한다는 것을 굳이 드러내지 않고 쓴다. '당근이세요?'의 제목을 보고 내용이 정말 궁금했다. 소설집이니까 당근거래를 매개로 이어지는 이야기들이 들어있을까 기대했는데, 그럼 틀림없이 재밌을 것 같단 생각을 했다. 하지만 의외로 깊은 '문제'를 담고 있는 내용들이 이어졌다.
딸꾹질은 묘했다. 아홉살의 지완은 아무리 '엄마 뱃속에서의 태교부터 시작해 몬테소리, 프뢰벨을 거치며 샛별유치원과 지금의 성실초등학교 입학까지 훌륭한 교육 프로그램(10)'을 거쳐왔다 해도 너무 성숙해보였다. 이것도 아이가 아이다워야 한다는 편견일까. 하지만 자꾸만 어색한 느낌이 드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그런 지완이 충동적으로 캔을 따는 상황도 묘했다. 축구도 지완에게도 이변이 일어나는 순간이어서 그랬나? 사실 트럭을 탄 지완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을지가 더 궁금했는데 갑자기 끊겨 아쉬웠다. 이 이변은 지완이를 더 성숙하게 만들어줄까, 아이처럼 보이게할까.
" 보라가 먼저 노래책을 집어 들고 선곡을 한다. 김건모의 '잘못된 만남'이다. "전국노래자랑 분위기로 가는 거야?" 눈을 동그랗게 뜬 나영이의 반문에 보라가 대꾸한다. "우리 엄마 십팔번이야." p77" 갑자기 튀어나온 제목에 놀랐는데 이어서 김윤아의 '봄날은 간다' 클론의 '쿵따리 샤바라' 제목이 이어진다. 부모님의 십팔번을 부른단다. 아, 슬프다. 이거 다 아는 곡들이구만. 보라의 아픈 마음처럼 내 마음도 아프다. 이어지는 내용에서 누구보다 자식 교육에 관심이 큰 보라의 엄마가 베트남에서 스물다섯살이나 많은 남자와 결혼하기 위해서 한국에 왔다는 것, 알콜중독이던 아빠는 결국 간암으로 시집온지 10년도 안돼 죽고 혼자 보라를 키워왔다는 것이 한동안 마음에 걸려 남는다.
" '그러니까 어머니께서 아주버님 생일날 면회 다녀오시고 며칠 뒤에 있었던 일이었나 봐요. 광주에 투입된 게......' 엄마도 한 번씩 나름의 짐작으로 옛이야기에 끼어들었다. 가족들 사이에 오가는 큰아빠 군 생활 관련 얘기는 짐작과 추측에 지나지 않았다. 당사자인 큰아빠가 그 일에 관해 얘기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이다. 가족 모두, 아니 이제는 온 국민이 다 아는 일이건만 정작 큰아빠는 지금껏 자신이 겪은 일을 털어놓은 적이 없다. p102" 지완이의 이야기에 등장한 근대사의 각종 날짜들을 보며 어느 정도 짐작했는데, '오월의 생일 케이크'에서는 더 깊은 상흔을 드러낸다. 군대에 다녀온 이후로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고 세상과 단절되어 살아가는 큰아빠가 등장한다. 지완은 심부름으로 할머니댁에 가는 길에 교통사고 현장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는데, 그런 지완의 혼란스러움과 큰아빠의 이야기가 세대를 잇는 이해를 그려낸다.
네 이야기 모두가 하나씩 우리 사회의 모습을 담고 있는데, '개를 보내다'는 읽으면서 특히 피로감을 느꼈다. 가장 일반적이고, 문제의식조차 희미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서이다. 진서의 생일날 아버지에게 선물로 받은 강아지 진주는 유기견 출신이다. 가족의 동의 없이 아무런 준비도 되지 않은 채 진서의 생일 선물이 된 진주의 이야기는 시종일관 답답하다. 다른 이야기들은 중간에 갑자기 끊긴듯한 마무리로 궁금함을 자아냈는데 진서의 이야기만은 마지막까지 마무리 지어진 채로 끝나 그 점만은 개운했다. 그 안에서 진서가 많이 성장했음도 느껴졌다. 기대와는 다른 색의 내용을 만나게 됐지만, 아이들이 읽기에 참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들었다. 어떤 부분들은 더 핍진성있게 설정되었다면 좋았으리란 아쉬움도 주지만, 모든 이야기들이 자연스럽게 우리 사회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어지는 독후 활동으로 넘어갈 수 있는 주제를 던진다는 점이 큰 장점이었다.
PC버전에서 작성한 글은 PC에서만 수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