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Dennis Kim의 책과 생각
사실 이 책을 지은 소설가 장강명의 소설을 읽은 적은 없습니다. 단지 여러 매체에서 들은 바로 상을 여러번 받은 신진 소설가라는 것만 알고 있었고, 읽지는 않았지만 <한국이 싫어서>라는 소설을 지은 분이라는 점만 알고 있었습니다.

작가가 이미 밝혔듯이, 하나의 의도를 가지고 지은 책이 아니고 상당부분 작가가 ‘채널예스’라는 잡지의 연재분과 기타 다른 곳에 발표한 글들을 모은 글입니다.

각 꼭지마다 ‘덧붙임’이라는 부가문들이 붙을 수 밖에 없는 이유였는데 저는 원래 연재내용을 바꾸지 않고 이렇게 부가하는 형식이 내용을 이해하는데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논픽션 위주의 독서를 하는 편이라 문학관련해서 편집자들이나 출판사들의 사정을 잘 몰랐는데, 제2부에 해당하는 ‘소설가의 돈벌이’가 특히 글쓰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부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출판사들이 책을 낸 소설가들과 다른 저자들에게 총 몇부의 책이 출고되고 재고가 얼마 남았고, 인쇄소에서 첫쇄부터 얼마나 인쇄를 했는지 모른다고 한 사실을 폭로하는 부분은 독자로서도 큰 충격이었습니다.

출판업도 엄연히 제조업인데 얼마나 인쇄가 되어 출고가 되고 얼마나 서점으로 나가는지 총매출수량과 출고수량을 출판사가 모른다는 건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더구나 대형출판사에서조차 이런 기본적인 오퍼레이션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건 출판을 문화로만 취급하고 비즈니스로 인식하지 못한 업계의 관행탓으로 보입니다.

이외, 소설가들이 출판사와 출간계약을 하는 법이라든지, 추천사가 어떻게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는지, 신간 마케팅을 위해 저자들이 출판사와 어떤일을 해야 하는지, 실제 유튜브 상에서 본 여러 출판사들의 마케팅관련 영상의 이면을 잘 설명해 준 것 같습니다.

긍정적인 면들로 한국의 소설가들이 결국 오리지널 컨텐츠를 창작하는 이들로 소설이 출간된 이후 이흘 기반으로 영화나 드라마의 원작자로 참여하게되고, 그로인해 소설가들에게 제2판권시장이 열리게 된 건 비즈니스 측면에서 아주 긍정적인 면 같습니다. 그리고 영상콘텐츠 강국이 한국이라서 이런 기회가 있다는 것도 중요한 점 같습니다.

책과 독서를 좋아하는 독자로서 한국의 독서시장이 양분되어 매니아층인 활자중독자들과 문해력이 달려 300쪽이 넘어가는 책을 읽지 못하는 경우로 나뉘고, 문해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이에 따라 한국소설도 점점 얇아지고 있는 중입니다. 예전처럼 두터운 대하소설이 나오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염상섭같은 현실주의 작가를 좋아하고 소싯적 읽었던 조세희작가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이 아직도 인생의 소설로 남아 있습니다.

자칭 월급사실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2020년대의 소설가인 장강명씨의 소설을 기회가 되면 읽어보려 합니다.

얼마 전 보니 위에 소개한 <한국이 싫어서>가 영화화된 소식을 들었습니다. 창비나 문지같은 문단권력은 아니지만 그래도 2000년 초반 데뷔한 주류 소설가의 한사람으로서 솔직한 의견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