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서재
  •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 하
  • 한국사연구회 엮음
  • 18,530원 (5%580)
  • 2008-02-15
  • : 2,224
일제강점기에 길러진 “끄나풀”들이 아직도 남아있다.
당시에는 국가가 없다는 이유로,  “피식민지인”이라서 혹은 “배우지 못해서” 휘둘리고 당했지만

2024년은 대한민국이 아직도 식민지인지,

국민들이 아직도 '배우지 못해서'인지 다시 되묻고 싶다.





https://youtu.be/l3gFZxCO8DI?si=UWSn_s_aKbro0UvR
(사도광산 등재 문제)


일제시기 지방지배체제의 주요한 특징은 도와 면의 통치(자치) 기능을 강화함과 동시에 조선인 유력자들을 자치(자문)기구나 공공단체(조합) 등에 적극적으로 포섭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요컨대, 총독부는조선의 지방사회를 지방행정기구만이 아니라 도평의회(도회), 부회・.읍회 · 면협의회 · 학교평의회와 같은 다양한 자치 및 자문기구, 또는계통농회·금융조합 · 수리조합 · 삼림조합 · 소방조 등과 같은 군 단위 공공단체와 조합들을 매개로 지배했는데, 이른바 "관료 유지 지배체제"란 총독부가 각종 ‘관료기구’와 ‘자치 자문 및 공직기구’를 총동원하여 구축한 양식을 말한다.
지방유지란 관료-유지 지배체제의 형성과정에서 성장한 총독정치의 매개자 달리말하면‘토지재산’과 사회활동 능력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당국신용과 사회인망(이른 바 빽)을 획득한 지방사회의 유력자들에 다름이 아니었다.- P296
일제의 지방지배체제나 정책은 국민총력운동(1941~1945)이 본격화하면서 크게 변화했다. 가령, 징용 · 징병 · 공출 등 전시총동원정책이본격화하면서 총독부는 지방지배의 파트너로서 군면 단위 유지들보다동리의 구장이나 중견인물(중견청년)들의 정치사회적 구실이 더 중시되기 시작했는데, 이런 사실은 국민총력운동의 본격화와 더불어 ‘관료-유지 지배체제‘가 균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전시체제기 총독부에 의해 집중적으로 육성되기 시작한 중견인물들은 지방유지들과는 달리 제 스스로는 별다른 정치적 자원을 가지지 못한, 일종의 끄나풀 (agent)에 불과했다. 일제 말기 면서기 등 지방하급관료는 대부분 농산어민도장, 중견인물양성소, 농업보습학교 등 ‘중견청년 양성시설‘을 거친 이들 가운데서 충원되었다.- P299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