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결국 아무것도 남길 것도 없는
이 어둠과 같은 삶 속에서 뭔지도 모를 것들을 찾아 헤메이다
결국, 외롭게 소멸되는 것일까?
결국 각자 조용히 사라질 운명 속에서 나와 너는 왜 이렇게 만나 왜 또 헤어지고
만남이라는 교점을 지나는 동안 어떻게 이토록 서로를 밝혀줄 수 있는 것일까
'쇼코의 미소'와 '내게 무해한 사람'을 읽고
최은영씨의 작품은 일단
무조건 사서 읽어보겠다고 생각하고 있던 차였다.
문학동네의 서평 참가 이벤트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길을 걷다가 길 가운데서 단숨에 서평 이벤트 접수를 하고는
당첨 문자를 기다리며 오랜만에 설레는 마음을 가졌다.
이상한 일이다. 이 작가는 누구일까
어떻게 이토록 나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를 잡는 이야기를 할 수 있는지
늦은 퇴근에 책을 뜯어 읽기 시작한 시간은 거의 자정이 다 돼서였다.
너무 피곤해서 사실 그 순간에는 큰 기대가 없었는데
첫 페이지를 읽으며 쇼코의 미소를 읽었을 때처럼 가슴이 가라앉는 기분이 들었고
단숨에 티저북을 다 읽고 리뷰를 써본다.
주인공인 지연은 이혼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엄마에게 더 큰 상처를 받게 되고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어머니와 멀어지는 과정에서
우연히 외할머니와 재회하게 된다.
그녀가 의지할 수 있는 가족의 자리를 할머니가 채우게 되면서
지연의 증조할머니에 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지연의 현재 이야기와 증조할머니 과거의 이야기가 서로 꼬리를 물고 균형을 맞춰가면 얽혀가면서
증조할머니, 그리고 증조할머니의 곁에서 그녀의 삶을 밝혀주었던 사람들의 삶이
지연의 삶과 묘하게 공명하게 된다.
몰입도 있는 전개와 줄거리, 누구에게도 원망을 돌리지 않는, 무해한 서술 방식 등 이 책을 추천할 이유는 너무 많지만
역시 관계에 대한 통찰을 끌어내는 이런 주제에는 저항할 길이 없다.
이 소설에서는
사랑했던 사람들이 인생에 어떤 의미로 남는지에 대해
끊임없이는 의문과 부정이 등장한다.
....
'그게 다 무승 소용일까. 사람이 사람을 기억하는 일, 이세상에 머물다 사라진 누군가를 기억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 알 수 없었다.'
...
'끝은 결국 같아. 너랑 나도 헤어지게 될 거야. 언젠가는."
...
"앞으로 남은 인생이 헤어짐의 연속이라고 생각하면 벅차."
작가가 과연 이 질문에 해답을 줄수 있는 어떤 결말을 제시할지 무척이나 궁금하다.
그러나 나는 이미 답을 얻은 것 같기도 하다.
밝은 밤.
밤과 같은 우리의 인생도 가끔 밝게 느껴지는 법이다.
밤과 같은 인생을 걷는 나도 가끔은 누군가의 밤을 밝혀 줄수도 있는 법이다.
그만하면 된 것 같다. 결국, 어둠 속에서 소멸할지라도
우리는 누군가의 밤을 밝혀준 적이 있었고
누군가는 우리의 밤을 밝혀주기도 했다는 그 사실이
그냥 그런 일이 있었다는 것 자체가 위로되기도 하는 법이다.
티저북이었기 때문에 뒷부분에 어떤 내용이 전개될까 하는 궁금증에 허기가 심하다
그러나 나는 밝은 밤이라는 제목처럼 이 캄캄하고 고단한 주인공들의 삶이
사실은 서로에 의해 밝게 빛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거라는 낙천적인 생각을 해본다.
전능한 작가가 순진하고 낭만적인 생각에 사로잡힌 불쌍한 독자의 기대를 깨부수지 않길 바라며 나머지 이야기들을 기다려본다.
#밝은밤 #최은영 #문학동네 #북클럽문학동네
그게 다 무승 소용일까. 사람이 사람을 기억하는 일, 이세상에 머물다 사라진 누군가를 기억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지 알 수 없었다.- P81
끝은 결국 같아. 너랑 나도 헤어지게 될 거야. 언젠가는
- P104
"앞으로 남은 인생이 헤어짐의 연속이라고 생각하면 벅차."
"지금 그런 생각 드는 거 당연해. 그래도, 지연이 너도 그게 전부는 아니라는 거 알잖아."
"모르겠어."- P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