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2
dahmi-y님의 서재

<홍차 탐구>
문기영 / 글항아리

"홍차를 마시면 누구나 궁금해지는 이야기들"이라는 부제가 달린, 문기영 선생의 신작을 막 다 읽었습니다.

1장은 차 공부의 실용적 목적과 홍차의 현재 위치를 간략히 다루고 있고, 2장은 차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들, 3장은 홍차에 대한 기본적인 질문들, 4장은 차와 홍차에 대해 갖고 있는 오해와 편견, 5장은 애프터눈 티에 대해, 6장은 세계사에서 홍차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 7장은 기타 이야기, 8장은 인도와 스리랑카 산지 방문한 홍차여행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부록으로 조지 오웰의 홍차 에세이도 한 편 수록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홍차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지난번에 읽은 책은 그림 속 홍차, 즉 문화사에 대한 책이었는데 이번 책은 홍차 그 자체에 대한 책이었습니다. 머리말에서 밝혔듯이 ‘차가 무엇인지’ 홍차가 무엇인지‘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잡는 데 도움이 될 거라 했는데, 제가 그 전체적인 윤곽을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저는 처음부터 쭉 읽어나갔지만, 50가지 주제 중 궁금한 항목부터 읽어나가도 무리가 없는 책입니다. 몇 가지 밑줄 친 문장을 나열해봅니다.

"삶이 당신을 아주 녹초로 만들 때, 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차 마시는 것뿐이다." 15쪽

홍차를 분류하는 세 가지 기준에 대해 설명했다. 처음 홍차를 접하는 분들은 블렌딩 홍차, 단일산지 홍차, 단일다원 홍차 순서로 마셔보는 것이 홍차의 맛과 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77쪽

최근 들어 다르질링 홍차에 붙기 시작한 화이트 라는 단어는 일종의 등급으로 보면 된다. 103쪽

"한 잔의 차는 단지 한 잔의 차가 아니다. 우려진 찻잎의 일생을 말하고 있다." 126쪽

무스카텔 향의 정체에 대해서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가장 손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은 타이완 우롱차 동방미인과 함께 마셔보는 것이다. 만일 자신이 마시는 세컨드 플러시에서 동방미인의 대표 향인 복숭아와 꿀이 조화된 맛과 향이 느껴진다면 그것이 바로 무스카텔 향이다. 129쪽

<홍차 탐구>를 읽는 내내, 홍차가 어찌나 마시고프던지.. 덕분에 아삼을 많이 마셨습니다. 이젠 애프터눈 티세트를 먹고 싶어지네요. 맛난 책을 읽어서 그런가 봅니다.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책을 읽고 작성한 것입니다만 서평 내용은 제맘대로 자유로이 작성하였음을 밝힙니다.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