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서재

싸리·버들 글숲


 

광화문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성지가 된 지 오래다. 윤석열이가 검찰총장 되어 반란을 일으킨 이후 서초동 교대역과 서초역 일대가 광화문 버금가는 장소와 풍경으로 자리 잡았다. 검찰청, 대법원, 윤석열이 우리가 몰려 있는 곳이어서다. 지난 10월 11일에는 촛불행동이 조희대 대법원 앞인 서초역 8번 출구에서 집회하고 강남역 쪽으로 행진했다.

 

대검찰청은 물론 대법원, 심지어 아크로비스타까지도 권위주의에 절은 건축물이다. 거기서 일하는 자들과 사는 자들을 그대로 반영한다. 아니다. 거꾸로다. 그런 상징을 조작하려는 의도로 그렇게 지었다고 봐야 한다. 윤석열이가 싸지른 친위쿠데타 이후 속속 밝혀지는바 이 건물들로 상징되는 법과 힘을 쥔 사악한 무리가 서초 풍경을 뒤집어놨다.

 

‘서초(瑞草)’는 ‘서리풀’을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다. 서리풀은 벼다. 본디 오래전에는 이곳이 질 좋은 쌀 생산지였다고 전한다. 우리 생명 공동체 존속에 단연 으뜸으로 공헌한 식물 생명체가 쌀이라는 사실을 임을 생각할 때 이 살림 터전에다 죽임 성채를 세운 짓은 아무래도 음모다. 그에 맞서 ‘씨알풀(民草)’이 살해 풍경을 도로 뒤집어놓으려 한다.

 

아니다. 아미타브 고시-『육두구의 저주』 저자- 어법에 따르면 이 장소와 풍경 자체가 수천 년 동안 변함없이 지켜온 들리지 않는 음성으로 씨알풀을 부르고 씨알풀은 거기 응답한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 장소와 풍경은 우리랑 공생하는 당사자로서 반란과 살해에 맞서는 전선에 참여하고 있다. 그들은 죽은 땅덩어리와 텅 빈 허공이 결단코 아니다.

 

서리풀을 떠나며 나는 소스라치듯 깨닫는다. 그동안 숲과 물을 걷고 난 뒤 밤이 되면 문득 낮에 걸었던 숲과 물이 마치 사람처럼 그리워지며 어둠 속에 남겨진 그 고독을 짠해하던 심사가 어디서 발원하는지를 말이다. 비록 약한 의인법이긴 하지만 장소와 풍경을 사물 취급하지 않았다는 증거니 기나긴 시간이 헛되지 않았구나, 한다. 정색하고 감사!




  • 댓글쓰기
  • 좋아요
  • 공유하기
  • 찜하기
로그인 l PC버전 l 전체 메뉴 l 나의 서재